고령인구2 2024년 고령사회, 생각보다 빠르게 다가왔다 ! 고령자 통계 심층 분석 2024년 9월 26일, 통계청은 2024년 고령자 통계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발표는 우리 사회의 고령화 현황과 그에 따른 다양한 사회적, 경제적 변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합니다. 이번 블로그 포스트에서는 통계청의 발표 내용을 바탕으로 2024년 고령자 통계를 상세히 분석하고, 고령화 사회의 현주소와 미래 전망을 살펴보겠습니다. 1. 고령 인구의 증가 2024년 기준,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993만 8천 명으로 전체 인구의 19.2%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우리 사회가 빠르게 고령화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2025년에는 고령 인구 비중이 20%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며, 2036년에는 30%, 2050년에는 40%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됩니다. 성별로 보면, 여자의 고령 인구 .. 2024. 10. 23. 2052년 장래인구추계로 본 유망한 도시 2곳은? 2024년 5월 28일 통계청에서는 2052까지의 장래인구 추계를 발표하였습니다. 이 자료로 보면은 살아남을 도시는 세종과 경기일 듯합니다. 당연히 넘사벽인 서울은 인구가 감소를 하더라도 직장, 교육, 부동산 등에 큰 문제가 없을 듯합니다. 여러 요소들을 자세히 한번 살표 보시죠. □ (총인구) 2022년 대비 2052년 시도별 총인구는 세종과 경기는 증가하고, 나머지 15개 시도는 감소할 것으로 전망2022년 총인구는 5,167만명에서 2024년까지 5,175만 명 수준으로 증가한 후 감소하여 2052년 4,627만 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근데 이를 추정치는 합계출산율을 1.08명으로 가정한 아주 긍정적 전망을 한 것이라, 실제 인구 감소는 더 클 것이라고 판단된다. 2010년대 인구 .. 2024. 6. 2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