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가격 평균이 신축 기준 14억 원입니다. 진짜 좋은 직장에 들어가 연봉 1억 원인 남녀가 만나서 결혼을 한다면,
연봉을 하나도 안 쓰고 모아도, 7년이 걸리고, 50% 만 모은다 해도 14년이 걸리네요. 이런 시점에 서울시에선 조금이나마 아이를 양육하는 부부를 위해 보육 서비스를 개선하였다고 합니다. 같이 알아보시죠.

🔍 '서울형 시간제전문 어린이집'이란?
맞벌이 가정이나 급하게 아이를 맡겨야 할 때, 신뢰할 수 있는 보육 서비스를 찾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서울시는 이러한 부모들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서울형 시간제전문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서비스는 미취학 아동(6개월~7세 이하)을 시간 단위(최대 월 60시간)로 맡길 수 있는 보육 시스템으로, 기존 어린이집의 유휴 공간을 활용해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됩니다.
특히, 정기적으로 맡길 필요 없이 필요한 시간만큼만 이용할 수 있어 부모들의 만족도가 매우 높습니다. 2024년 6월부터 시범운영을 시작한 이후, 현재까지 95% 이상의 높은 만족도를 기록하며 인기 급상승 중입니다.
🔍 서울형 시간제 어린이집, 왜 주목받고 있을까?
1. 시간 단위로 이용 가능한 유연한 보육 서비스
일반 어린이집은 전일제 등록이 필요하지만, 서울형 시간제 어린이집은 부모의 일정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 병원 진료나 중요한 업무가 있을 때
- 운동, 자기계발, 가사 등 개인 시간이 필요할 때
- 맞벌이 가정의 단기 보육 공백을 해결해야 할 때 이처럼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어 많은 부모들이 찾고 있습니다.
2. 서울 전역으로 확대! 더욱 가까워진 보육 서비스
서울시는 기존 8개소에서 2025년 4월부터 17개소로 확대, 연내에는 25개소(각 자치구 1개소 이상)로 운영할 계획입니다.
📌 4월부터 새롭게 추가된 9개소는?
- 중구 신당동어린이집
- 용산구 효창어린이집
- 강북구 꿈나무어린이집
- 노원구 향기어린이집
- 서대문구 마미어린이집
- 양천구 홍익어린이집
- 강서구 구립숲속나라어린이집
- 구로구 새날어린이집
- 동작구 구립고은어린이집

3. 저렴한 비용 & 무료 이용 혜택
이용 요금은 시간당 2,000원으로 비교적 저렴하며, 4월 한 달간 첫 이용 가정을 대상으로 2시간 무료 이용 이벤트도 진행됩니다.
🎟 무료 이용권 받는 방법
- 서울시보육포털(https://iseoul.seoul.go.kr)에서 다운로드
- 키즈노트 앱, 탄생응원서울 SNS에서도 확인 가능
- 동주민센터, 서울형 키즈카페, 보건소 등에서 실물 쿠폰 수령 가능

🎯 예약 방법
- 신규 운영 어린이집은 4월 1일(화)부터 이용할 수 있으며 3월 21일(금)부터 ‘서울시보육포털’(https://iseoul.seoul.go.kr)에서 예약가능
- 이용일 14일 전부터 1일 전까지 온라인 예약 가능
- 당일 예약은 전화 신청(정오 12시까지 가능)
서울특별시 보육포털 서비스
iseoul.seoul.go.kr
📢 서울형 시간제 어린이집, 육아 부담을 줄여주는 혁신 서비스
서울형 시간제 어린이집은 부모들의 육아 부담을 덜어주고, 보다 유연한 보육 환경을 조성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맞벌이 부부나 가정양육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이 서비스는 앞으로도 더 많은 지역으로 확대될 예정입니다.
육아는 부모만의 몫이 아니라 사회가 함께 해결해야 하는 중요한 문제입니다. 서울시는 이를 위해 안심하고 아이를 맡길 수 있는 보육 정책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며, 부모와 아이 모두가 행복한 도시를 만들기 위해 힘쓰고 있네요.
* 나의 생각 : 행정 복지 서비스의 질이 계속 발전하고 있습니다. 어떻게든 육아 부모들의 애로사항을 개선하여, 누구나 아이를 낳으면 사회에서 공동 육아를 해준다는 개념을 심어서, 출산율을 높여야 할 시점입니다.
'정부정책(국토교통부,기획재정부,금융위원회,국세청)'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6년부터 바뀌는 국민연금 개혁안 총정리 - 보험료 13%·소득대체율 43% 변경의 모든 것 (2) | 2025.03.29 |
---|---|
지방 준공 후 미분양 주택 3천호 매입! 분양전환형 든든전세로 활용, 혜택과 신청방법 완벽 가이드 (2) | 2025.03.28 |
서울, 글로벌 금융도시 TOP10 진입! 3년 연속 순위 유지한 비결은? (0) | 2025.03.25 |
2024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결과: 대한민국 교육 현실을 파헤치다! (0) | 2025.03.24 |
기준금리 2.75% 시대, 한국은행이 밝힌 2025년 경제 전망: 통화신용정책보고서. (2) | 2025.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