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부정책(국토교통부,기획재정부,금융위원회,국세청)

서울, 글로벌 금융도시 TOP10 진입! 3년 연속 순위 유지한 비결은?

by 선혜윰파운더 2025. 3. 25.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에 대한 순위는 들어봤어도, 글로벌 금융도시 순위라는 것은 처음 봅니다. 어떤 내용인지 같이 살펴보시죠. 

🔎 국제금융센터지수(GFCI)란?

서울이 2025년에도 글로벌 금융경쟁력 TOP10을 유지하며 세계적인 금융도시로 자리 잡았습니다. 하지만 "국제금융센터지수(GFCI)"라는 개념이 생소한 분들도 있을 텐데요.

  • GFCI(Global Financial Centres Index)는 세계 주요 도시의 금융경쟁력을 평가하는 지표로, 영국의 글로벌 컨설팅 그룹 **Z/Yen(지옌)**과 **중국 종합개발연구원(CDI)**이 공동으로 발표합니다.
  • 이 지수는 연 2회(3월, 9월) 발표되며, 인적자원, 기업환경, 금융산업 발전, 인프라, 도시 평판 등 5가지 항목을 바탕으로 평가됩니다. 그렇다면 서울이 어떻게 3년 연속 TOP10을 유지할 수 있었는지, 어떤 노력이 있었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GFCI 37 Rank - Long Finance

Please use the right hand navigation to see different data series of GFCI 37. Note: NaN stands for new entry. For further access to indices data, including centre rank vs rating over time, top 5 centres by regions, side by side centre comparison, survey re

www.longfinance.net

2025년 3월 GFCI 국가별 Ranking

🔎 본문: 서울의 글로벌 금융경쟁력 TOP10 유지 비결

1️⃣ 꾸준한 순위 상승과 금융환경 개선

서울은 2019년 GFCI에서 36위였지만,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며 2021년 16위 → 2022년 12위 → 2023년부터 10위권 유지라는 놀라운 성과를 보였습니다. 특히 2025년 GFCI 37차 발표에서 **프랑크푸르트(11위)**를 제치고 10위를 차지하며, **프랑스 파리(17위), 일본 도쿄(22위)**보다 높은 순위를 기록했습니다.

2️⃣ 핀테크 산업과 디지털 금융의 성장

서울이 글로벌 금융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었던 주요 요인 중 하나는 핀테크 산업의 발전입니다.

  • 서울핀테크랩 운영: 2018년 개관 이후 368개 핀테크 스타트업을 지원하며, 총 4,538억 원의 투자 유치 성공
  • 유망 핀테크 기업 성장:
    • 모바일 기반 환전·송금 기업 트래블월렛(TravelWallet) → 아시아 스타트업 TOP100 선정
    • 온라인투자연계금융(P2P금융) 기업 에잇퍼센트(8PERCENT) → 누적 대출액 9,477억 원 달성
    • 바이오 인증 결제 기업 고스트패스(GhostPass) → CES 2025 최고 혁신상 수상

서울핀테크랩 내부 이미지

3️⃣ 서울핀테크위크 개최 및 국제 협력 확대

서울시는 글로벌 금융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매년 서울핀테크위크를 개최해 왔습니다. 2006년부터 서울국제금융콘퍼런스를 시작해 글로벌 금융산업 협력을 강화 2023년부터 핀테크 특화 행사로 전환해 디지털 금융 트렌드에 대응 해외 기업과의 네트워크 확대 및 투자 유치 활성화

2024년 서울핀테크 위크 행사

🏆 결론: 글로벌 금융도시 서울의 미래

서울시장은 이번 GFCI 발표에 대해, 서울이 첨단산업과 핀테크를 융합하는 금융혁신을 추진하고, 비즈니스 친화적인 금융 환경을 조성하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서울의 글로벌 금융도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것?

  • 해외 금융기관 및 핀테크 기업 유치 확대
  • 금융 관련 규제 개선 및 혁신적인 투자 환경 조성
  • 디지털 금융 인프라 확충 및 핀테크 스타트업 육성

서울이 지속적으로 국제금융도시 TOP10의 자리를 유지하며, 나아가 홍콩(3위), 싱가포르(4위) 같은 글로벌 금융 허브로 도약할 수 있도록 앞으로의 정책과 전략이 더욱 중요해질 것입니다. 

* 나의 생각 : 더 이상 땀 흘려 돈을 버는 사회는 지난 듯 합니다. 이젠 돈이 돈을 복사할 수 있도록 해야 하니, 제조업 강국 + 금융 강국으로 나가야, 앞으로 진행될 잃어버린 30년의 한국 경기 침체를 벗어날 수 있을 듯합니다. 일본 도시가 없다는 것이 조금 의외이긴 합니다. 

서울, 글로벌 도시 금융경쟁력 10위…3년 연속 글로벌 TOP10 수성.pdf
0.32MB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