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선식품3

24년 9월 소비자 물가 1.6% 상승으로 안정화 추세 10월 2일, 기획재정부 발표 자료에 따르면 24년 9월 소비자 물가는 1.6% 상승으로 목표 2.0% 이내를 달성하였습니다. 물가 안정화 추세를 보이고 있네요.  [소비자 물가]전년동월비 1.6% 상승 (8월 2.0%)으로 정부 목표 이내로 들어왔네요. 이렇게 되면 미국 금리 인하 + 국내 소비자 물가 안정화로 국내 기준 금리 인하는 거의 대세로 이어질 듯합니다.국제유가하락(0.1→△7.6%)으로 가장 물가 안정화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됨. 근원물가와 신선식품의 변화는 전월 대비 유사 수준이며 생활 물가 지수는 유가 하락으로 상승폭이 둔화됨.[Risk 요인]이스라엘과 중동 아랍국의 전쟁 확대로 인해 석유류 가격 상승이 예상되며 기상 이변으로 배추등 채소류의 가격이 상승하여 물가 상승 압박은 지속.. 2024. 10. 12.
24년 7월 소비자 물가는 전년 대비 2.6% 상승했습니다. 24년 7월 소비자 물가 전년대비 2.6%, 전월비 0.3% 증가하였습니다. 자세한 내용을 살펴보시죠.[소비자물가]’ 24.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동월비 2.6%를 기록하면서 6월(2.4%) 보다 소폭 상승(0.2% p)하였다.농축수산물물 가는 기상악화로 채소류 가격이 상승했으나, 과일류 가격이 하락하면서 전년동월비상승폭죽소(전년동월비 6.5→5.5%).석유류 물가는 국제유가상승, 작년가격하락기저효과등으로 전년동월비상승폭확대(4.3→8.4%).개인서비스물가는 휴가철을 맞아 관광・숙박등외식 제외서비스가 상승하면서 전년동월비상승폭소폭확대(2.7→2.9%).[근원물가] 안정 흐름이 계속되면서 전년동월비 2.2% 상승(6월 2.2%) 하였다. 근원물가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로서, 계절.. 2024. 8. 5.
소비자 물가 잡히고 있나요. 기획재정부에선 24년 7월 2일, 24년 6월 소비자 물가 동향을 발표하였습니다. 물가가 잡히고 있는지 같이 살펴보시죠. [소비자물가]전년동월비 2.4% 상승(5월 2.7%) 대비 하락 안정세를 보였습니다. 농산물(전월비 △5.3%, 전년 동월비 13.3%) 가격이 하락하고, 가공식품(전월비 △0.2%, 전년동월비 1.2%)·개인 서비스(전월비 0.0%, 전년동월비 2.7%) 가격도 안정 흐름이 지속된 영향이다. 농축수산물 물가는 양호한 기상여건 등으로 전반적인 농산물 가격이 하락하면서 전년동월비 상승폭 죽소(전년동월비 8.7→6.5%)전월비 변화율(%): △5.3 (채소)△11.9 (과일)△2.9 3.1 0.1.석유류는 국제유가하락으로 전월비 하락했으나, 작년 낮은 가격에 따른 기저효과(’ 23.6월,.. 2024. 7. 6.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