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취업자수5

2025년 4월 고용시장 리포트: 청년은 울고 중장년은 웃었다? (+취업 전략) 안녕하세요, 경제와 일자리에 관심 많은 여러분! 오늘은 통계청에서 발표한 따끈따끈한 2025년 4월 고용동향을 쉽고 깊이 있게 파헤쳐 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매월 발표되는 고용동향은 우리 경제의 건강 상태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인데요. 특히 '취업자 수', '실업률', '고용률' 등은 현재 일자리 상황과 미래 전망을 가늠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 잠깐! 주요 용어부터 정리하고 갈까요? 취업자: 조사대상주간에 수입을 목적으로 1시간 이상 일한 사람, 또는 가족이 운영하는 사업체에서 주당 18시간 이상 무급으로 일한 사람 등을 말합니다.실업자: 조사대상주간에 수입 있는 일을 하지 않았고, 지난 4주간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했으며, 일이 주어지면 즉시 취업이 가능한 사람을 의미합니다.경제활동인구: .. 2025. 5. 21.
2025년 1월 당신이 살림살이는 괜찮으신가요?: 최근 경제동향(feat.기획재정부) 2025년 1월 17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은 국내 경제 상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우리들은 해당 자료를 읽어 경제흐름을 파악하고 개인별  대응 전략을 수립해야 할 듯합니다.산업활동동향 주요 지표 현황 산업활동동향은 경제의 전반적인 생산, 지출, 소비자 심리 흐름을 보여주는 핵심 지표입니다. 소매판매는 증가하였으나 주요 생산과 투자 지표인 설비, 건설투자는 감소하였습니다. 생산은 광공업(전월비 △0.7%, 전년동월비 0.1%), 서비스업(전월비 △0.2%, 전년동월비 1.0%), 건설업(전월비 △0.2%, 전년동월비 △12.9%)에서 감소하여 全산업 생산(전월비 △0.4%, 전년동월비 △0.3%) 감소지출은 소매판매(전월비 0.4%, 전년동월비 △1.9%)는 증가, 설비투자(전월비 .. 2025. 1. 24.
노인 일자리, 고용 현황이 역대 최고라고 읽습니다. 24년 7월 10일 기획재정부에선 고용률, 경활률(경제활동참가율)이 29개월 연속 역대 최고라고 발표하였습니다. 이런 지표를 보면 24년 7월 대한민국은 역사상 가장 좋은 태평성대일 듯한데요. 왜 저는 힘든지 모르겠네요.[ 정부 해석 vs 나의 해석]피부미터는 너무 힘든 경제인데, 왜 정부는 ' 역대 최고 고용률, 경활률' 을 외치고 있을까요 정부의 해석과 나의 해석을 항목별로 나눠보겠습니다.항목정부 해석나의 해석고용률 63.5% (6월 역대 최고)82년 7월 이후 6월달에 고용률로는 역대 최고 이다. 정부가 노력하고 경기가 좋아서 서비스업의 증가폭이 확실히 컸다.고용 증가 60세 이상이 25.8만명으로 대부분이다. 이는 일자리의 질이 좋지 않은 단순 일용적이 늘어난 것이다. 더욱이 청년 고용률은 -0... 2024. 7. 16.
24.5월 최근경제동향, 물가, 고용, 부동산시장, 수출입현황. 24년 5월 물가, 고용, 부동산시장, 수출입현황등을 통한 최근 경제 동향을 점검해 보고자 합니다. 경제동향은 장기적으로 우리 국가 경제의 성장, 정체, 하락을 예측해 볼 수 있을 듯합니다. □ 물가ʼ24.4월 소비자물가는 상승폭 축소(ʼ24.3월 3.1% → 4월 2.9%).식료품・에너지 제외지수는 2.3%, 농산물・석유류 제외지수는 2.2%, 생활물가지수는 3.5% 상승.4월 물가는 국제유가 상승 영향에도 농축수산물 가격 하락, 서비스 물가 안정세 등으로 2.9% 상승(3월 3.1%)으로 하향 안정화 추세를 보임.* 나의 생각 : 물가 하락은 금리 인하의 가장 큰 요소라 부동산 등 투자 시장에는 긍정적 요소인 듯하다. □ 고용ʼ24.4월 취업자는 전년동월대비 26.1만명 증가(ʼ24.3월 17.3만 .. 2024. 5. 23.
밥은 먹고사니?[보도참고]'24.2월 고용동향 분석 (feat.기획재정부) 24.2월 고용 동향 분석 보고서가 발표되었다. 고용동향 보고서는 정부나 연구기관에서 정기적으로 발간하는 보고서로서, 특정 기간 동안의 고용 시장 변화를 분석하고 전망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보고서에는 취업자 수, 실업률, 고용률, 근로시간, 임금 등 주요 고용 지표의 변화 추이가 담겨 있으며, 산업별, 연령별, 성별 등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됩니다. 또한, 경제 전망, 정부 정책, 향후 고용 시장 예상 등을 포함하기도 합니다. 기획재정부에서 발표한 2024년 2월 고용동향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지표를 보이며 호조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24.2월 고용동향 특징 고용률 61.6%(2월 역대 최고), 경제활동참가율 63.6%(2월 역대 최고), 실업률 3.2%.. 2024. 3. 20.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