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취업에 어려움을 겪고 계신 서울 시민들에게 정말 반가운 소식을 가지고 왔습니다. 서울시가 2025년 하반기 '서울 동행일자리' 사업을 통해 약 7천 명을 모집한다는 소식인데요. 특히 이번에는 상반기보다 486명이 더 많이 모집된다고 하니 관심 있으신 분들은 꼭 확인해 보세요!
🔍 서울 동행일자리란 무엇인가요?
'서울 동행일자리'는 서울시의 시정철학인 '약자와의 동행'에 부합하는 공공일자리 사업입니다. 이 사업의 가장 큰 특징은 사회적 약자가 또 다른 사회적 약자를 도울 수 있는 선순환 구조라는 점입니다. 실업자나 일용근로자 같은 취업 취약계층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 이들이 활동하면서 다른 사회적 약자들을 도울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단순한 사무보조 업무가 아닌, 공공성이 높은 사업 위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필요한 대민활동을 중심으로 운영됩니다.
🔍 2025년 하반기 모집 개요
📌 모집 기간 및 근무 조건
- 모집 기간: 2025년 5월 1일(목) ~ 5월 16일(금)
- 근무 기간: 2025년 7월 1일(화) ~ 12월 19일(금), 약 6개월
- 근무 시간: 1일 6시간 이내, 주 5일 근무
- 임금: 1일 6시간 근무 시 6만 1,000원, 월평균 약 177만원
📌 지원 자격
- 18세 이상 근로 능력이 있는 서울시민
- 세대원 합산 기준 중위소득 80% 이하
- 합산재산 4억 9,900만원 이하
📌 신청 방법
주소지 동주민센터에 방문하여 상담 후 신청하면 됩니다. 자치구별로 사업 마감일이 다를 수 있으니 미리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2025년 하반기 주요 사업 분야
이번 하반기에는 5개 분야, 762개 사업에서 총 6,976명을 모집합니다. 각 분야별 모집 인원과 주요 사업을 자세히 살펴볼까요?
📌 돌봄·건강 약자 지원 (165개 사업, 1,012명)
돌봄·건강 분야에서는 취약계층의 건강 격차를 줄이고 아동의 안전한 놀이 환경을 조성하는 사업이 진행됩니다.
- 취약계층 건강 관리 지원: 만성질환 예방, 대사증후군 관리, 치매 등 취약계층 건강 격차 감소를 위한 건강 증진 동행 사업 (12명)
- 아동시설 안전관리 전문가 양성: 실내 놀이공간에서 아동이 안전하게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안전관리 및 사고 예방을 위한 이용지도 활동 (20명)
📌 경제 약자 지원 (91개 사업, 655명)
경제 약자 지원 분야에서는 합리적인 소비 환경 조성과 취약계층 식품 지원 등의 사업이 추진됩니다.
- 물가안정 점검지원: 농축수산물 등 82개 품목 가격 조사를 통해 소비자의 합리적 선택기회를 제공 (12명)
- 푸드뱅크마켓 운영지원: 식품 등을 기부받아 어려운 이웃에게 전달하는 활동 지원 (15명)
📌 사회안전 약자 지원 (226개 사업, 2,193명)
사회안전 분야는 이번 하반기 사업 중 가장 많은 인원이 배치되는 분야 중 하나입니다.
- 스쿨존 어린이 교통안전 지킴이: 어린이의 안전한 통학 환경을 돕는 교통안전 지킴이 활동 (172명)
- 거리 노숙인 보호 지원: 감염병, 기후재난에 취약한 거리 노숙인 보호를 위한 순찰, 상담 활동 (26명)
📌 디지털 약자 지원 (75개 사업, 724명)
디지털 약자 지원 분야는 이번 하반기에 특히 인원이 늘어난 분야로, 디지털 소외계층을 위한 다양한 지원 사업이 진행됩니다.
- 디지털 안내사: 어르신이 많은 지역을 순회하며 키오스크 등 디지털 기기 이용을 돕는 활동 (125명)
- 도서관 정보화 사업: 정보 취약계층이 도서관 전자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도움 제공 (65명)
📌 기후환경 약자 지원 (205개 사업, 2,392명)
기후환경 분야는 이번 하반기 최대 인원이 투입되는 분야로, 안전한 도시 환경과 에너지 효율 개선을 위한 사업이 추진됩니다.
- 개인형 이동장치(PM) 안전 관리 지원: 도로 위 무단 방치된 개인형 이동장치(PM)의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활동 (29명)
- 에너지 서울동행단: 에너지 취약계층이 거주하는 노후주택의 에너지 효율 개선을 위해 유리 단열재 시공을 지원 (40명)
🔍 상반기와 하반기 비교, 무엇이 달라졌나요?
2025년 상반기에는 ▴사회 안전 약자 지원 216개 사업 2,034명 ▴돌봄·건강 약자 지원 155개 사업 952명 ▴디지털 약자 지원 67개 사업 656명 ▴기후 약자 지원 194개 사업 2,267명 ▴경제 약자 지원 83개 사업 581명 등 총 6,490명이 활동했습니다.
하반기에는 특히 디지털 약자를 위한 지원, 취약계층 건강 증진 등 주요 사업에 필요한 인원을 늘려, 상반기보다 486명의 인원이 더 참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디지털 약자 지원과 같은 사회적 필요성이 높은 분야에 더 많은 일자리가 배정된 것이 특징입니다.
🔍 서울 동행일자리, 왜 참여해야 할까요?
- 안정적인 소득 보장 : 월평균 약 177만 원의 소득을 6개월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어 취업 취약계층의 생계 안정에 큰 도움이 됩니다.
- 사회 기여와 보람 : 단순한 일자리를 넘어 다른 사회적 약자를 돕는 활동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고 보람을 느낄 수 있습니다.
- 다양한 경력 쌓기 : 5개 분야의 다양한 사업에 참여할 수 있어, 향후 민간 취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경력을 쌓을 수 있습니다.
- 사회적 관계망 형성 : 비슷한 상황에 있는 참여자들과의 교류, 그리고 도움을 제공하는 대상자들과의 만남을 통해 사회적 관계망을 넓힐 수 있습니다.
🔍 신청 전 알아두면 좋은 팁!
- 사전에 필요 서류 준비하기: 신분증, 주민등록등본, 소득 증빙 서류 등을 미리 준비하세요.
- 관심 분야 미리 정하기: 5개 분야 중 자신의 적성과 경험에 맞는 분야를 미리 정해두면 상담 시 도움이 됩니다.
- 거주지 인근 사업 확인하기: 출퇴근 편의를 위해 거주지 인근에서 진행되는 사업을 확인해 보세요.
- 일정 체크하기: 자치구별로 마감 일자가 다를 수 있으니 반드시 확인하세요.
- 자세한 정보 확인: 서울시 누리집(www.seoul.go.kr)과 서울 일자리포털(job.seoul.go.kr)에서 더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울일자리포털
job.seoul.go.kr
📢 마무리
2025년 하반기 '서울 동행일자리' 사업은 취업 취약계층에게 안정적인 일자리를 제공하고, 사회적 약자를 돕는 의미 있는 활동을 할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특히 고물가, 고환율 등 경제 상황이 어려운 시기에 생계 안정과 사회 안전망 구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서울시는 하반기 사업이 현장에서 잘 운영될 수 있도록 사업 현장점검과 모니터링을 면밀하게 진행하고, 우수사업은 적극적으로 발굴해서 서울 전역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합니다. 자격 요건에 해당하시는 분들은 5월 16일까지 주소지 동주민센터를 방문하여 상담 후 신청해 보세요.
* 나의 생각 : 아무 것도 하지 않으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지금 어려운 시점을 벗어나고 싶으면, 이런 서울시 및 정부, 거주하시는 지자체에서 하시는 공공 일자리를 지속 모리터링하고 신청해 보시길 바랍니다.
'정부정책(국토교통부,기획재정부,금융위원회,국세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토바이 소유자라면 꼭 알아야 할 이륜차 안전검사 의무화 총정리 (2025년 최신 정보) (2) | 2025.05.07 |
---|---|
2025년 5월 28일부터 달라지는 열차 위약금 체계 총정리 - 출발 임박 환불 방지로 실수요자 보호 (0) | 2025.05.06 |
도심 속 수상레저의 새로운 명소! 난지한강공원 '서울수상레포츠센터' 이용 꿀팁과 요금 정보 (4) | 2025.05.04 |
충격! 2025년 1분기 한국 GDP 마이너스 성장 (-0.2%), 우리 경제 괜찮을까? (상세 분석 및 전망) (6) | 2025.05.03 |
클릭 한 번으로 공공시설 예약하기! 네이버 지도와 카카오톡으로 1,200개 시설 이용법 (6) | 2025.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