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및 부동산 전문가들이 공급량이 부족하고 전셋값이 상승하니 집값이 올라간다고 합니다. 일면 맞는 말인데 제 생각은 주택담보대출을 완화하고 늘려주니 집 값은 당연히 상승하는 것이라 생각됩니다. 스트레스 DSR 적용 시기인 24.9월까지는 지속 집 값은 상승하리라 생각됩니다.
[가계대출]
’24.6월중 全금융권 가계대출은 총 +4.4조 원 증가하여 전월(+5.3조 원) 대비 증가폭이 축소되었다. ’ 23년 말 대비로는 상반기(1~6월) 동안 총 +7.9조 원 증가(+0.5%)하는 등 지속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 주택담보대출은 +6.1조원 증가하여 전월(+5.6조 원) 대비 증가폭이 소폭 확대되었는데, 이는 은행권 주담대 증가폭이 전월에 이어 확대(+5.7조 원→ +6.3조 원)된 데 주로 기인한다.
- 기타 대출은 은행권이 감소 전환(+0.3조 원→△0.3조 원)하고, 제2금융권의 감소폭이 확대(△0.5조 원→△1.4조 원)되면서 △1.7조 원 감소하였다
[업권별]
업권별로 살펴보면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폭은 전월과 유사한 수준이나,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감소폭이 확대되었다.
- ’24.6월중 은행권 가계대출은 +6.0조 원 증가하여, 전월(+6.0조 원)과 유사한 수준의 증가세를 유지하였다. 이는 디딤돌·버팀목 등 정책성 대출의 증가세 지속, 주택거래 회복세등에 따라 주담대 증가폭이 확대(+5.7조 원→+6.3조 원) 된 것에 주로 기인한다. 기타 대출은 전월 대비 소폭 감소 전환(+0.3조 원 →△0.3조 원)하였다.
-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분기별 부실채권 상각 등의 영향으로 총 △1.6조원 감소하여 전월 (△0.7조 원) 대비 감소폭이 확대되었다. 상호금융권(△1.0조 원), 여전사(△0.3조 원), 저축은행(△0.3조 원)은 감소하였고, 보험(+0.02조 원)은 소폭 증가하였다.
* 나의 생각 : 정부와 언론에서 말하는 것처럼, 통화량이 축소되거나 대출 규제가 강화 된 적은 거의 없었던 것 같다. 말로만 줄인다고 했지만 정작 Data로 보면은 지속적으로 늘리고 있다. 이번에도 주담대는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주택 가격 상승을 뒷받침하는 가장 큰 요소로 판단된다. 주담대 상승이 지속되는 한 집값은 지속 상승할 것으로 판단된다.
'정부정책(국토교통부,기획재정부,금융위원회,국세청)'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예술인이며 기회소득 신청해보세요.(1인당 75만원) (1) | 2024.07.23 |
---|---|
24년 5월에도 시중의 돈(통화량)은 늘어났습니다. (2) | 2024.07.19 |
24년 5월 누적, 나라 살림 (통합재정수지) 52.2조 적자입니다. (0) | 2024.07.17 |
노인 일자리, 고용 현황이 역대 최고라고 읽습니다. (0) | 2024.07.16 |
잠실 돔구장 건립에 따른 잠실 주경기장이 대체 야구장으로 운영됩니다. (0) | 2024.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