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0월 16일, 한국은행은 2024년 8월 통화 및 유동성 동향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발표는 경제 전문가와 일반 대중 모두에게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경제 안정성과 향후 전망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담고 있습니다. 이번 블로그 포스트에서는 한국은행의 발표 내용을 바탕으로 2024년 8월의 통화 및 유동성 동향을 상세히 살펴 보겠습니다.
1. 협의통화(M1)와 광의통화(M2)의 변화
- 협의통화(M1)는 전월 대비 0.1% 증가하여 전년 동월 대비 2.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광의통화(M2) 역시 전월 대비 0.2% 증가하여 전년 동월 대비 6.1% 증가했습니다.
- (금융상품별) 정기예적금(전월대비 +11.5조 원), 기타 통화성 상품(+3.8조 원) 등이 증가하였으나 MMF(-4.6조 원), 금융채(-2.5조 원) 등은 감소,
- (경제주체별) 기타 금융기관(+6.3조 원), 가계 및 비영리단체(+5.1조 원)가 증가하였으나 기타 부문(-2.0조 원) 및 기업(-0.5조 원)은 감소.
2. 금융기관 유동성(Lf)과 광의유동성(L)의 동향
- 금융기관 유동성(Lf)은 전월 대비 0.1% 감소했지만, 전년 동월 대비 5.2% 증가했습니다. 이는 금융기관의 유동성 관리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 광의유동성(L)은 전월 말 대비 변동이 없었으나, 전년 동월 말 대비 5.3% 증가했습니다. 이러한 데이터는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경제 성장에 필요한 유동성을 충분히 공급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 나의 생각 : 시중 유통 통화량의 상승은 안정화 단계이며 금융기관도 유동성 관리를 잘 한 듯하다. 금리 인하 시점에 유동성 증가는 바로 부동산 가격 상승의 도화선이 될 수 있으니, 최근 디딤돌 대출 등 주택 담보 대출을 강화하는 듯 하다. 주담대 대출이 줄어 들 거라, 9월 유동성도 크게 상승할 염려는 없듣 듯 하다.
'정부정책(국토교통부,기획재정부,금융위원회,국세청)'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고령사회, 생각보다 빠르게 다가왔다 ! 고령자 통계 심층 분석 (12) | 2024.10.23 |
---|---|
9월 고용시장, 청년층은 울고 노인들은 웃는다? 고용동향 분석 (12) | 2024.10.22 |
금융위원회 발표 : 청년을 위한 금융교육과 지원정책의 개선 (18) | 2024.10.16 |
2024년 9월 가계 대출, 또 다시 급증! 영끌, 또다시 시작? (8) | 2024.10.15 |
24년 9월 소비자 물가 1.6% 상승으로 안정화 추세 (4) | 2024.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