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자영업자 수는 전체 근로자의 20 ~ 25% 수준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특히 경제가 어려울수록 자영업자가 늘어난다고 하는데 2023년 자영업자의 대표 사업인 프랜차이즈 사업 현황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랜차이즈(가맹점) 주요 현황
- 가맹점수 : 30만 1천개로 전년 대비 5.2% 증가하였습니다. 외국식, 문구점, 한식 등의 전년 대비 큰 증가폭을 보였으며 자동차 수리 부분이 가장 큰 감소를 보였습니다.
- 종사자수 : 가맹점 수가 증가함으로 종사자 또한 101만 2천명으로 전년 대비 7.4% 증가하였습니다. 전년대비 한식, 생맥주/기타 주점, 외국식 등 음식점 부분의 종사자 수가 많이 증가하였습니다.
- 매출액 : 매출액도 108조 8천억원으로 전년 대비 8.4% 증가하였습니다. 생맥주/기타주점, 한식, 커피/비알코올음료 부분의 매출이 증가하였습니다.
- 종사자 1인당 매출액 : 1인당 매출액은 가맹점 및 매출액 증가 대비 증가폭이 작습니다. 1억 742만 원으로 전년 대비 0.9% 밖에 증가를 하지 않았네요. 1인당 매출액을 고려하여 내가 무엇을 할 것인가도 고려해 볼만합니다. 1인당 매출 상위 업종은 의약품 ( 4억 2,662만 원), 문구점( 1억 7,119만 원) , 안경/렌즈(1억 6,064만 원)로 이런 업종으로 진출하는 게 더 좋을 듯합니다.
프랜차이즈 가맹점당 현황
- 가맹점당 종사자수 : 종사자는 3.4명으로 전년 대비 2.0% 증가하였습니다. 종사자수 상위 업종은 두발미용(4.7명), 자동차 수리(4.6명), 제과점(4.4명) 순으로 높습니다. 정부에선 종사자수가 많은 업종들을 키우는 것이 고용 증가를 위해 좋을 듯 합니다.
- 가맹점당 매출액 : 가맹점당 매출액은 3억 6,092만원으로 전년 대비 3.0% 증가하였습니다. 매출액 상위 업종은 의약품 (13억 2,945만 원), 자동차수리(6억 6,882만 원), 편의점(5억 827만 원)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지역별 프랜차이즈 가맹점 현황
경기도가 8만개로 26.7%로 가장 많고 서울 5만 개, 경남 2만 개, 부산 1.9만 개 순으로 많았으며 수도권이 전체의 49.2%를 차지하고 있어, 역시 수도권이 대한민국의 경제 주체 지역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보도자료)+2023년+프랜차이즈(가맹점)조사+결과(잠정).pdf
2.92MB
* 나의 생각 : 경기가 좋지 않음에도 프랜차이즈 사업은 2023년에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이는 직장인들의 실직으로 인한 자영업 진출이 많아 졌음을 보이는 듯합니다. 그리고 의료 부분 이외는 1인당 매출액이 1억대로 크지 않음을 보이고 있습니다. 자영업을 어쩔 수 없이 시작하시는 분들은 본 자료를 지속 모니터링하여 보다 경쟁력 있는 부분으로 진출하심이 좋을 듯합니다.
'정부정책(국토교통부,기획재정부,금융위원회,국세청)'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12월 소비자 물가 동향 : 전년 동월 대비 1.9%, 연간 2.3% 상승 (0) | 2025.01.17 |
---|---|
25년 2월 14일, 서울시 미혼남녀 만남행사 2탄 : 셀렘, 아트나잇 (4) | 2025.01.16 |
2024년 12월말 외환보유액 : 다행히 강보합으로 2.1억달러 증가 (0) | 2025.01.13 |
9년 만에 출생자사 증가: 2024년 24만명 출생 (0) | 2025.01.11 |
2024년 세수 펑크, 심각성과 그 이유는? 나라 살림 제대로 운영 가능한가 (0) | 2025.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