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12월 16일 발표된 2023년 퇴직연금통계 결과를 바탕으로 퇴직연금 시장의 주요 변화와 의미를 살펴보려 합니다. 퇴직 이후의 삶을 준비하는 많은 분께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니 끝까지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1. 퇴직연금통계 개요
퇴직연금통계는 우리나라 퇴직연금 제도의 가입 현황과 운용 실적을 분석하여 퇴직 이후의 경제적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매년 시행됩니다. 이번 조사는 2023년 12월 말 기준 데이터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퇴직연금의 가입자, 적립금, 운용수익률 등 주요 지표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2. 2023년 퇴직연금 주요 지표
2023년 퇴직연금 시장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며 국민들의 퇴직 후 재정적 안정성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올해의 주요 통계입니다.
- 전체 적립금: 381조 원으로 전년 대비 13.9% 증가
- 도입 사업장 : 전체 도입 사업장은 43만 7천 개소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
- 가입자 수: 714.4만 명으로 전년 대비 2.8% 증가
- DB형과 DC형 비중: DB형 53.7%, DC형 25.9%, IRP(개인형 퇴직연금) 20%로 IRP는 전년 대비 7.0% 증가
3. 퇴직연금 유형별 현황
1) DB형(확정급여형) : DB형은 기업이 운용 책임을 지며 근로자가 퇴직 시 약정된 금액을 받는 방식입니다. 퇴직 급여가 확정급여 산출공식( 퇴직 시점 평균임금 X 근속연수)에 의해 퇴직 시점 퇴직금이 사전에 결정되는 제도.
- 적립금 총액: 205조 원 (53.7%)
- 주요 특징: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나 인플레이션 시대에 가치 하락을 우려하여 감소세를 보임
2) DC형(확정기여형) : DC형은 사용자는 매년 임금의 1/12 상담 금액 이상을 근로자 계정에 납입, 근로자가 적립금 운용 결과에 따라 퇴직금을 받는 방식입니다.
- 적립금 총액: 99조 원 (25.9%)
- 주요 특징: 투자 성과에 따른 변동성 증가, 젊은 세대에서 선호로 증가세를 보임
3) IRP(개인형 퇴직연금) : IRP는 근로자가 자발적으로 추가 납입하여 퇴직금을 준비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근로자 퇴직 시 수급한 퇴직 일시금을 은퇴시점까지 적립/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 계좌.
- 적립금 총액: 76조 원 (20%)
- 주요 특징: 세제 혜택 덕분에 자영업자와 프리랜서들의 관심 증가
4. 주요 트렌드 분석
- DC형(확정기여형)의 증가 : 운영 결과에 따른 투자 성과 극대화 위해 DC형으로 전환이 증가되고 있음.
- 23년 중도인출 증가( 전년 대비 28.1%), 인출 사유는 주택구입, 주거임차, 회생 절차, 장기 요양 등의 순임.
* 나의 생각 : 퇴직연금은 지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개인들의 월급 증가와 연금 중요성에 의한 가입자로 추정됩니다. 더불어, 성과 극대화를 위한 DC형이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투자의 시대! 투자 공부는 이젠 필수 일 듯합니다.
'정부정책(국토교통부,기획재정부,금융위원회,국세청)'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한국 사회 어디로 가나? 통계청에서 발표한 한국 사회동향 (12) | 2024.12.25 |
---|---|
2023년 신혼부부, 당신이 궁금해하는 모든 것! 통계로 풀어보는 결혼의 현주소 (1) | 2024.12.24 |
2024년 11월 소비자 물가, 1.5% 상승, 물가 안정세 지속될까? (0) | 2024.12.07 |
2024년 10월 국세 수입, 예상보다 부진, 왜? 분석 및 전망 (4) | 2024.12.06 |
서울시 후불 기후동행카드, 이제 더 편리하고 강력하게! 이용법 Q&A 총정리 (1) | 2024.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