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layout-aside-lef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정부정책(국토교통부,기획재정부,금융위원회,국세청)

2023년 신혼부부, 당신이 궁금해하는 모든 것! 통계로 풀어보는 결혼의 현주소

by 선혜윰파운더 2024. 12. 24.

2023년 12월 10일에 발표된 통계청의 2023년 신혼부부통계 결과를 통해, 향후 인구 구성과 소비문화 등을 예측해 볼 수 있을 듯합니다. 이러한 통계는 미래의 사회적 변화와 경제적 지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되니, 통계 내용을 같이 살펴보시죠.

신혼부부 기본현황

2023년 신혼부부는 97만 4천 쌍으로 전년보다 5.6%(5만 8천 쌍) 감소하였지만, 1년 차 신혼부부는 전년보다 2.9% 증가하여 그나마 나은 결과를 보이고 있다. 

신혼부부 수 추이 및 연차별 현황

신혼부부의 자녀 및 보육

(자녀) 초혼 신혼부부 중 자녀가 있는 부부 비중은 52.5%로 전년보다 1.1% p 하락, 평균 자녀 수는 0.63명으로 전년보다 0.02명 감소하여 경제적 어려움에 따른 자녀 출산을 기피하는 것으로 보인다.

  • 맞벌이 부부의 유자녀 비중(49.6%)이 외벌이 부부(57.4%)보다 7.8%p 낮음
  • 아내가 경제활동을 하는 부부의 유자녀 비중(48.9%)이 아내가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부부(58.9%)보다 10.0% p 낮음
  • 주택을 소유한 부부의 유자녀 비중(58.3%)이 무주택 부부(48.6%) 보다 9.7% p 높음 

(보육형태) 초혼 신혼부부의 만 5세 이하 자녀의 보육형태는 어린이집 (52.3%), 가정양육(42.2%), 유치원(3.6%) 순임

  • 맞벌이 부부 (55.0%)는 외벌이 부부(49.3%)에 비해 어린이집 보육 비중이 5.7%p 높음

초혼 신혼부부의 자녀현황

신혼부부의 경제활동 현황

(맞벌이) 초혼 신혼부부의 맞벌이 비중은 58.2%로 전년보다 1.0%p 상승.

(소득) 연간 평균소득은 7,265만원으로 전년보다 7.0% 증가.

  • 소득구간별 비중은 7천만~1억원(23.1%), 5~7천만 원(21.4%), 1억 원 이상(20.7%) 순임
  • 평균소득은 맞벌이 부부(8,972만원)가 외벌이 부부(5,369만 원)보다 약 1.7배 높고, 주택을 소유한 부부(8,061만 원)는 무주택 부부(6,715만 원)보다 약 1.2배 높음 

(대출) 대출이 있는 신혼부부의 비중은 87.8%로 전년보다 1.2% p 하락 ㅇ 대출잔액 중앙값은 1억 7,051만 원으로 전년(1억 6,417만 원)보다 3.9% 증가

신혼부부의 경제활동 현황

신혼부부의 주거 현황

(거처유형) 초혼 신혼부부의 주된 거처 유형은 아파트(74.5%)로 전년 보다 2.1% p 상승

(주택소유) 주택을 소유한 초혼 신혼부부 비중은 40.8%로 전년보다 0.3%p 상승

  • 주택소유 비중은 혼인 1년차 34.3%, 5년 차 49.6%로 연차가 높아질수록 주택소유 비중이 높음

신혼부부의 주택 소유 현황

* 나의 생각 : 1년차 신혼부부는 조금 증가하고 있어 다행입니다. 그러나 주택 및 경제활동의 어려움으로 자녀를 낳는 세대가 감소하고 있어 이는 큰 문제로 판단됩니다. 신혼 장려 및 부담을 줄이기 위한 많은 노력이 지속되어야 할 듯합니다. 

2023년+신혼부부통계+결과+보도자료.pdf
2.83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