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17일, KB경영연구소는 2024년 한국 1인가구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보고서는 한국 사회에서 1인가구의 증가와 그에 따른 경제적, 사회적 변화를 분석한 중요한 자료로 이번 글에서는 2024년 한국 1인가구 보고서의 주요 내용과 그 의미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인가구의 증가
2024년 한국 1인가구 보고서에 따르면, 1인가구의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3년 기준, 1인가구의 비율은 전체 가구의 35.5%로, 2020년의 31.7%에서 지속 증가하고있습니다. 1인가구의 가구수는 782만 가구입니다. 이는 1인가구가 한국 사회에서 중요한 주거 형태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1인가구의 라이프스타일은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생활을 추구하며, 이는 경제 활동과 소비 패턴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라이프스타일 변화
하루 평균 챙겨 먹는 끼니 수가 2020년보다감소했고(2020년 2.2끼→2024년 1.8끼), 연립 및 다세대주택 거주자가2년전보다늘어가장높은비중을차지(2022년35.3%→2024년38.4%)하고 있어 1인 가구의 경제적 상황은 나빠지는 상황으로 보인다.
경제적 도전과 금융 생활
1인가구의 경제적 도전은 다양한 측면에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1인가구의 월 평균 소득은 315만 원으로, 이 중 40.8%가 생활비로 지출되고 있습니다. 특히, 고물가와 고금리로 인해 생활비와 대출 상환 부담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1인가구의 경제적 안정성을 위협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1인가구의 저축 비중은 월 평균 소득의 30.3%로, 경제적 불안정성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주거 환경과 생활 만족도
1인가구의 주거 환경은 여전히 개선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1인가구의 38.4%는 연립 및 다세대주택에 거주하고 있으며, 이는 2022년의 35.3%에서 증가한 수치입니다. 반면, 아파트에 거주하는 1인가구의 비율은 30.7%로, 2022년의 36.2%에서 감소했습니다. 이는 1인가구가 주거 환경에서 여전히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그러나 1인가구의 생활 만족도는 71.2%로, 많은 1인가구가 현재의 생활에 만족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금융 생활과 디지털 금융의 활용
1인가구의 금융 생활은 디지털 금융의 활용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1인가구의 54.9%는 대출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2022년의 47.7%에서 증가한 수치입니다. 특히, 스마트폰을 통한 금융 서비스 이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1인가구의 금융 생활을 더욱 편리하게 만들어주고 있습니다. 1인가구의 16.5%는 가계부 전용 앱을 사용하고 있으며, 14.7%는 금융사 앱을 통해 자산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1인 가구의 생활 걱정과 애로 사항
1인 가구의 3대 걱정거리는 '경제적 안정', '외로움', '건강'이며 2년전과 비교해 '경제적 안정' 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여 현재의 경기 침체 우려를 그대로 보여 주고 있습니다.
1인가구가 생활하면서 느끼는 가장 큰 애로사항은 ‘건강한 식습관 관리 실패’(38.7%)였고, 다음으로 이와 밀접한 관계 에 있는 ‘건강 관리 실패‘(29.2%)로 나타났다. 외식이나 배달 음식 등으로 끼니를 때우면서 균형 잡힌 식사를 못 하고, 운 동도 제대로 못하는 상황이 건강에 위협이 되고 있다고 느끼는 것으로 보인다. 그 외 ‘시간/자기계발 관리 실 패’(29.1%), ‘지출 계획 실패(생활비 부족)’(26.0%), ‘예산 및 금융 계획 부족’(25.1%) 등도 높은 응답률을 기록했다. 1인 생활의 가장 큰 애로사항인 ‘건강한 식습관 관리 실패’는 20대~50 대까지 남녀 가리지 않고 어렵게 느끼고 있었다.
* 나의 생각 : 1인 가구가 전체 가구의 30%를 넘어서, 그 수는 더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들의 관심사는 경제와 건강이였으며 이에 맞춰 정부는 이들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결혼 적령기 및 가임 가능 분들에 대한 결혼 지원 정책을 보다 더 펼쳐야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정부정책(국토교통부,기획재정부,금융위원회,국세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 후불 기후동행카드, 이제 더 편리하고 강력하게! 이용법 Q&A 총정리 (1) | 2024.11.30 |
---|---|
모바일 주민등록증 시대가 열렸다! 이제 지갑 대신 휴대폰만 있으면 된다! (1) | 2024.11.29 |
2024년 3분기 지역 경제, 어디로 향하고 있나? 지금 바로 확인하세요! (7) | 2024.11.19 |
경기도, 1인 가구 주거안전 체크리스트 발표 : 안전한 생활을 위한 필수 가이드 (22) | 2024.11.17 |
2023년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 발표 : 한국 사회의 다문화 현황과 변화 분석 (4) | 2024.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