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5일, 통계청은 2024년 10월 소비자 물가동향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10월 소비자 물가동향의 주요 내용과 그 의미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소비자 물가 상승률
2024년 10월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1.3% 상승했습니다. 이는 9월의 1.6% 상승률에 비해 0.3% p 하락한 수치입니다. 10월 소비자 물가 지수는 114.69로, 전월 대비 변동이 없었습니다. 이는 최근 몇 달간의 물가 상승률이 안정화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주요 품목별 물가 동향
10월 소비자 물가동향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 전월 대비 0.2%, 전년 동월 대비 1.8% 상승했습니다.
-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 전월 대비 0.3%, 전년 동월 대비 1.7% 상승했습니다.
- 생활물가지수: 전월 대비 0.1%, 전년 동월 대비 1.2% 상승했습니다.
- 신선식품지수: 전월 대비 2.5% 하락, 전년 동월 대비 1.6% 상승했습니다.
- 신선어개: 전월 대비 0.8%, 전년 동월 대비 0.2% 상승했습니다.
- 신선채소: 전월 대비 1.2%, 전년 동월 대비 15.7% 상승했습니다.
- 신선과실: 전월 대비 8.4%, 전년 동월 대비 10.7% 하락했습니다.
경제 안정의 신호?
10월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1.3%로 안정화된 것은 경제 안정의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는 최근 몇 달간의 물가 상승률이 둔화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와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가 안정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어, 경제 전반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 나의 생각 : 물가 상승률 감소는 긍정적 신호인데, 트럼프의 미국 대통령 당선과 재정정책 확대에 따른 인플레이션 증가로 향후 물가 관리는 더욱 중요해질 듯하다. 여하튼, 물가 상승률은 지속 관리가 필요해 보입니다. 대외 환경이 너무 좋지 않습니다.
'정부정책(국토교통부,기획재정부,금융위원회,국세청)'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1인 가구 주거안전 체크리스트 발표 : 안전한 생활을 위한 필수 가이드 (22) | 2024.11.17 |
---|---|
2023년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 발표 : 한국 사회의 다문화 현황과 변화 분석 (4) | 2024.11.14 |
서울시 안심 고시원 인증, 이제 고시원 개업 지원도 받고 안전도 잡으세요! (0) | 2024.11.09 |
2024년 상반기 가상자산 시장, 다시 뜨겁게 달궈지나? 금융위 실태조사 결과 분석! (4) | 2024.11.08 |
30조원 세수 결손과 대응책 : 2024년 9월 국세수입 현황과 재정 대응 방안 (8) | 2024.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