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layout-aside-lef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정부정책(국토교통부,기획재정부,금융위원회,국세청)

2023년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 발표 : 한국 사회의 다문화 현황과 변화 분석

by 선혜윰파운더 2024. 11. 14.

2024년 11월 7일, 통계청은 2023년 다문화 인구통태 통계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3년 다문화 인구통태 통계의 주요 내용과 그 의미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다문화 혼인 증가

2023년 다문화 인구는 총 2만 431건으로, 전년 대비 17.2% 증가했습니다. 이는 다문화 가정의 증가와 함께 한국 사회가 점점 더 다문화화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2023년 다문화 가정의 구성은 주로 한국인 남성과 외국인 여성의 결혼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외국인 아내의 비율은 69.8%로, 외국인 남편의 비율인 17.9%보다 훨씬 높았습니다. 이는 한국 사회에서 외국인 여성과의 결혼이 더 일반적임을 보여줍니다.

다문화 혼인 추이

다문화 혼인을 한 외국인 및 귀화자 아내의 출신 국적 비중은  베트남 27.9%, 중국 17.4%, 태국 9.9%로 보이고 있어, 베트남 여성의 혼인 비율이 지속 증가하고 있음을 보이고 있습니다. 

아내의 주요 국적별 혼인 비중 추이

다문화 이혼 역시 증가

다문화 이혼은 8,158건으로, 전년 대비 3.9% 증가했습니다. 2020년 감소 추세에서 다시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기존 문화적 차이 이외 국내 경기가 어려워지고 특히 경제적으로 어려움이 많은 다문화에 그 영향이 훨씬 빠르게 전달되는 듯 합니다. 

다문화 이혼 초이

다문화 가정의 이혼은 한국 부부 평균 결혼 생활 17.5년보다 짧은 10.1년으로 외국인 여성 기준 20대 후반에서 30대 초반에 혼인을 시작해서 40대 초반에 이혼을 함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평균 이혼 연령 및 결혼 생활 기간

다문화 출생과 출산율

2023년 다문화 출생아 수는 1만 2,150명으로, 전년 대비 3.0% 감소했습니다. 이는 다문화 가정의 출산율이 감소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다문화 가정의 출산율 감소는 여러 가지 요인에 기인할 수 있으며, 이는 다문화 가정의 경제적 어려움이나 사회적 지원 부족 등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다문화 출생 추이

* 나의 생각 : IT 및 교통의 발전으로 국경의 의미는 무의미해진 듯 합니다. 더불어, 연간 20만 결혼 중 다문화 결혼 건수가 2만이니 이는 10%에 해당되는 큰 수치입니다. 따라서, 다문화 가정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며 이를 위해 적절한 지원 프로그램 수립 및 실행을 통해, 건전한 사회를 만들어가야 할 것입니다. 이혼 증가 및 출산율 감소는 향후 큰 사회 이슈로 대두될 수 있습니다. 

2023년+다문화+인구동태+통계.pdf
4.29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