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용4

2025년 1월 당신이 살림살이는 괜찮으신가요?: 최근 경제동향(feat.기획재정부) 2025년 1월 17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은 국내 경제 상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우리들은 해당 자료를 읽어 경제흐름을 파악하고 개인별  대응 전략을 수립해야 할 듯합니다.산업활동동향 주요 지표 현황 산업활동동향은 경제의 전반적인 생산, 지출, 소비자 심리 흐름을 보여주는 핵심 지표입니다. 소매판매는 증가하였으나 주요 생산과 투자 지표인 설비, 건설투자는 감소하였습니다. 생산은 광공업(전월비 △0.7%, 전년동월비 0.1%), 서비스업(전월비 △0.2%, 전년동월비 1.0%), 건설업(전월비 △0.2%, 전년동월비 △12.9%)에서 감소하여 全산업 생산(전월비 △0.4%, 전년동월비 △0.3%) 감소지출은 소매판매(전월비 0.4%, 전년동월비 △1.9%)는 증가, 설비투자(전월비 .. 2025. 1. 24.
2024년 3분기 지역 경제, 어디로 향하고 있나? 지금 바로 확인하세요! 내 지역의 경기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아가면, 이곳에 집을 살지, 아님 살 던 집을 팔지, 아님 경기가 좋은 다른 지역에 집을 한 채 더 살지, 도움이 될 듯하여 2024년 3분기 지역 경제 동향 자료를 살펴보았습니다.  생산 활동 2024년 3분기, 전국적으로 생산 활동은 전년 동기 대비 2.5% 증가했습니다. 특히, 인천과 대전은 각각 19.1%와 10.5%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며, 생산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습니다. 반면, 강원도와 서울은 각각 8.5%와 3.6% 감소하여 지역 간 경제 활동의 차이가 두드러졌습니다.서비스업 생산 서비스업 생산은 제주도와 인천에서 각각 9.0%와 3.8% 증가하며, 긍정적인 성과를 보였습니다. 그러나 경남과 세종은 각각 3.6%와 3.4% 감소하여, 일부 지역에서.. 2024. 11. 19.
24.5월 최근경제동향, 물가, 고용, 부동산시장, 수출입현황. 24년 5월 물가, 고용, 부동산시장, 수출입현황등을 통한 최근 경제 동향을 점검해 보고자 합니다. 경제동향은 장기적으로 우리 국가 경제의 성장, 정체, 하락을 예측해 볼 수 있을 듯합니다. □ 물가ʼ24.4월 소비자물가는 상승폭 축소(ʼ24.3월 3.1% → 4월 2.9%).식료품・에너지 제외지수는 2.3%, 농산물・석유류 제외지수는 2.2%, 생활물가지수는 3.5% 상승.4월 물가는 국제유가 상승 영향에도 농축수산물 가격 하락, 서비스 물가 안정세 등으로 2.9% 상승(3월 3.1%)으로 하향 안정화 추세를 보임.* 나의 생각 : 물가 하락은 금리 인하의 가장 큰 요소라 부동산 등 투자 시장에는 긍정적 요소인 듯하다. □ 고용ʼ24.4월 취업자는 전년동월대비 26.1만명 증가(ʼ24.3월 17.3만 .. 2024. 5. 23.
2024년 4월 금융통화위원회, 현황과 전망 분석: 변화하는 경제 속에서 금리 인상은 있을까? 2024년 4월 금융통화위원회의 발표 내용을 보면서 거시 경제에 대한 흐름을 한번 살펴보시죠. □ 2024년 금융통화 위원회 일정 2023년 10월에 발표된 2024년 금융통화위원회의 일정은 총 24회를 진행하며 이 중 기준 금리를 결정하는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는 8회(1월, 2월, 4월, 5월, 7월, 8월, 10월 및 11월) 진행된다. 거시 경제에 관심 있는 분들은 해당 일정에 관심을 두고 발표 내용을 지켜보면 좋을 것 같다. □ 2024년 4월 12일 금융 통화 위원회 발표 내용 분석 하나금융경영연구소에서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4월 12일 발표한 내용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금통위 여전히 높은 물가상승률과 대외 불확실성을 감안해 10회 연속 기준금리 동결. 4월 금통위는 물가상승률이 둔화 추세를 .. 2024. 4. 17.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