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당신이 살림살이는 괜찮으신가요?: 최근 경제동향(feat.기획재정부)
2025년 1월 17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은 국내 경제 상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우리들은 해당 자료를 읽어 경제흐름을 파악하고 개인별 대응 전략을 수립해야 할 듯합니다.산업활동동향 주요 지표 현황 산업활동동향은 경제의 전반적인 생산, 지출, 소비자 심리 흐름을 보여주는 핵심 지표입니다. 소매판매는 증가하였으나 주요 생산과 투자 지표인 설비, 건설투자는 감소하였습니다. 생산은 광공업(전월비 △0.7%, 전년동월비 0.1%), 서비스업(전월비 △0.2%, 전년동월비 1.0%), 건설업(전월비 △0.2%, 전년동월비 △12.9%)에서 감소하여 全산업 생산(전월비 △0.4%, 전년동월비 △0.3%) 감소지출은 소매판매(전월비 0.4%, 전년동월비 △1.9%)는 증가, 설비투자(전월비 ..
2025. 1. 24.
2024년 3분기 지역 경제, 어디로 향하고 있나? 지금 바로 확인하세요!
내 지역의 경기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아가면, 이곳에 집을 살지, 아님 살 던 집을 팔지, 아님 경기가 좋은 다른 지역에 집을 한 채 더 살지, 도움이 될 듯하여 2024년 3분기 지역 경제 동향 자료를 살펴보았습니다. 생산 활동 2024년 3분기, 전국적으로 생산 활동은 전년 동기 대비 2.5% 증가했습니다. 특히, 인천과 대전은 각각 19.1%와 10.5%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며, 생산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습니다. 반면, 강원도와 서울은 각각 8.5%와 3.6% 감소하여 지역 간 경제 활동의 차이가 두드러졌습니다.서비스업 생산 서비스업 생산은 제주도와 인천에서 각각 9.0%와 3.8% 증가하며, 긍정적인 성과를 보였습니다. 그러나 경남과 세종은 각각 3.6%와 3.4% 감소하여, 일부 지역에서..
2024. 11. 19.
24.5월 최근경제동향, 물가, 고용, 부동산시장, 수출입현황.
24년 5월 물가, 고용, 부동산시장, 수출입현황등을 통한 최근 경제 동향을 점검해 보고자 합니다. 경제동향은 장기적으로 우리 국가 경제의 성장, 정체, 하락을 예측해 볼 수 있을 듯합니다. □ 물가ʼ24.4월 소비자물가는 상승폭 축소(ʼ24.3월 3.1% → 4월 2.9%).식료품・에너지 제외지수는 2.3%, 농산물・석유류 제외지수는 2.2%, 생활물가지수는 3.5% 상승.4월 물가는 국제유가 상승 영향에도 농축수산물 가격 하락, 서비스 물가 안정세 등으로 2.9% 상승(3월 3.1%)으로 하향 안정화 추세를 보임.* 나의 생각 : 물가 하락은 금리 인하의 가장 큰 요소라 부동산 등 투자 시장에는 긍정적 요소인 듯하다. □ 고용ʼ24.4월 취업자는 전년동월대비 26.1만명 증가(ʼ24.3월 17.3만 ..
2024. 5.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