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용적률6

서울시 송파구 문정시영아파트 리모델링 사업 수정안 가결 : 2025년 제 1차 서울시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서울시는 2025년 1월 22일 제1차 서울특별시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개최하여 송파구 문정동 145번지 외 1필지 문정시영아파트 지구단위계획결정(안) 자문 및 경관계획(안) 심의를 통해, ‘수정동의 및 원안의결’ 하였다고 밝혔다.□ 문정시영 아파트 기본 정보위치 : 송파구 문정동 145번지 외 1필지(34,530.2㎡)준공년월: 1989년 3월 준공, 37년 차세대수 : 총 10개 동, 1,316세대, 25(11평) ~ 46(22평) 구성□ 제1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수정동의 내용공동주택 리모델링 사업에 따른 용적률 및 건축물 높이 완화 상정하여 안건 의결함.기존 : 공동주택 1,316세대, 용적률 215.73%, 지하 1층/ 지상 14층(36.7m)변경 : 공동주택 1,440세대, 용적률 322.27%.. 2025. 2. 4.
흑석 11구역, 1,500세대 대단지로 변신! 서울시 심의 통과 오늘은 2024년 12월 2일에 발표된 흑석 11 재정비촉진구역 주택 재개발사업에 대해 소개하려고 합니다. 흑석동은 서울시의 주요 개발 지역 중 하나로, 이번 발표는 지역 재생과 주거 안정성을 강화하는 큰 발걸음이 될 것입니다.□ 사업 개요 ‘흑석 11 재정비촉진구역 주택 재개발사업(동작구 흑석동 267번지 일대)’은 지하철 9호선 흑석역과 현충원 인근에 자리 잡고 있어 교통과 자연환경이 우수한 지역이다. 서달산 및 현충근린공원 등 주변 자연환경을 고려하여 친환경적이고 커뮤니티 중심의 건축계획이 수립되었으며,건축 규모 : 공동주택 30개 동(16층) 1,511세대 및 근린생활시설 1개 동과 공공청사가 건립된다. □ 사업 수익성 분석흑석 11 구역은 조합원 수와 임대 세대수의 양에 따라, 수익성이 달라질 .. 2024. 12. 12.
여의도 9호선 샛강역와 연계한 진주아파트 재건축 사업 정비구역 및 계획 결정 서울시는 2024년 12월 4일 제16차 도시계획위원회를 개최하고 여의도 진주아파트 재건축사업 정비구역 지정 및 정비계획 결정(안), 여의도 금융중심지구 지구단위계획 변경 및 세부개발계획 수립을 “수정 가결” 하였다. 수익성은 어떨지 살펴보겠습니다. □ 사업 배경영등포구 국제금융로 108-6(여의도동 54번지) 일대 진주아파트 재 건축사업 정비구역은 2024년 “여의도 금융중심 지구단위계획”으로 결정된 사항을 반영하여 시 도시계획위원회에서 재건축사업 정비구역 지정 및 정비계획을 새롭게 수립하였다□ 사업 개요사업 대상지의 용적률은 503.60%로, 최고층수는 57층으로 주변 지역을 고려한 스카이라인으로 계획되었다.공동주택용지용도지역: 제3종일반주거지역, 일반상업지역→일반상업지역공동주택용지용적률:463.27.. 2024. 12. 9.
여의도 수정아파트, 48년 만에 새옷을 입다 : 2024년 제 16차 서울시 도시계획 위원회 오늘은 12월 5일에 발표된 2024년 제16차 서울특별시 도시계획 위원회 개최결과 내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위원회에서는 총 8건의 안건이 심의되었습니다. 그중 1건은 원안 가결, 6건은 수정 가결, 1건은 조건부 가결로 결정되었습니다 이 중 여의도 수정아파트 재건축 사업을 살펴 보겠습니다. □ 사업 배경특히 이번 정비계획(안)은 여의도 금융중심 지구단위계획의 금융지원 기능 육성에 따라 공공청사(서울투자진흥재단사무소)를 공공기여시설로 확보함으로써 여의도 금융중심지 內 금융산업클러스터 인프라 구축 및 세계 TOP5 글로벌 금융허브로 도약을 기대하고 있다. 여의도 수정아파트는 금번 심의 시 수정가결된 내용을 반영하여 정비 계획 고시 후 금년 도입된 통합심의(건축, 교통, 교육 등)를 통해 건축 계획.. 2024. 12. 8.
낡은 공장지대, 서울시 준공업지역 개발 탄력, 용적률 400%! 2024년 11월 8일, 서울시는 준공업지역 개발에 대한 새로운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발표는 도시 재생과 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하며,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준공업지역 개발 계획의 주요 내용과 그 의미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준공업지역 개발의 배경 서울시는 오랜 기간 동안 준공업지역의 노후화와 비효율적인 토지 이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왔습니다. 준공업지역은 주로 1960~1970년대에 형성된 지역으로, 현재는 노후화된 건축물과 비효율적인 토지 이용으로 인해 도시 발전에 걸림돌이 되고 있습니다. 이번 개발 계획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준공업지역을 현대적인 복합 공간으로 탈바꿈시키기 위한 중요한 조치입니다. 서울시의 준공업 지역은 영등포구, 구로구, 금천구 .. 2024. 11. 18.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