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layout-aside-lef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정부정책(국토교통부,기획재정부,금융위원회,국세청)

대한민국이 정한 2024년 가장 안전한 자동차는?

by 선혜윰파운더 2024. 12. 31.

2016년식 LF 소나타를 몰다 보니 자율주행 기능 등이 없어서 너무 불편하다. 그래서 새 차를 계속 보고 있는데, 나 같은 사람들에게 차종을 고르는데 많이 도움이 될 듯하다. 국토교통부에서 2024년 가장 안전한 자동차를 발표하였다. 

 

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은 ’ 24년 자동차안전도평가(KNCAP ) 결과를 발표했다.

□ 자동차안전도평가(KNCAP) 란?  

  •  Korean New Car Assessment Program의 약자이며,  법적기준보다 엄격한 기준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공개해 제작 차량의 안전도 향상을 유도하는 정부 주도 평가 프로그램이다. 
  • '99년 최초 시행 이후 평가항목, 차종을 점차 확대하여 현재 3개 분야 20개 항목 평가 시험 중이다. 
  • 평가 항목 및 배점 기준은 아래와 같다.

자동차 안전도 평가 항목 및 배점 기준
평가 결과 및 등급 기준 의미

□ ’24년 자동차안전도평가 종합 결과

  • 평가 차종 :  9개 평가차종
    • 전기차 종3 : 기아 EV3, 현대 캐스퍼 일렉트릭, 테슬라 Y모델
    • 하이브리드차 3종 : 현대 싼타페 하이브리드, 볼포 S60, 도요타 프리우스
    • 내연차 3종 : 지프 랭글러, 벤츠 GLB250, 벤츠 E200
  • 평가 결과
    • 1등급 : 기아 EV3, 볼보 S60, 벤츠 E200, 현대 싼타페 하이브리드
    • 2등급 : 도요타 프리우스
    • 3등급 : 현대 캐스퍼 일렉트릭
    • 4등급 : 테슬라 Y모델
    • 5등급 : 지프 랭글러는 5등급을 획득하였다.

□ 배터리관리시스템 안전기능 평가체계  

특히 올해는 배터리 상태를 , 상시 감지하고, 이상 발생 시 경고하는 등 배터리관리시스템의 안전기능을 세계 최초로 도입 및  평가하였다.

  • 배터리관리시스템(BMS : Battery Management System)은 충전 및 방전 전류를 제어하고 비정상 작동 시 , 안전장치를 작동시키는 등 배터리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이다. 배터리관리시스템 안전기능 평가를 통해 배터리 상태를 상시 감지하고, 이상 발생 시 경고하는 등 제작사가 전기차 배터리 화재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기술력 확보를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배터리 관리시스템 안전 기능 평가 항목 및 등급 기준

  • 배터리 관리시스템 안전 기증 평가 결과
    • 1등급 : 없음.
    • 2등급 : 기아 EV3, 현대 캐스퍼 일렉트릭
    • 3등급 : 없음.
    • 4등급 : 테슬라 모델 Y
* 나의 생각 : 새 차나 중고차를 알아보시는 분들은 국토부에서 평가하는 안전평가 결과를 보면서 선택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그리고 전기차는 아직 배터리 관리 시스템 부분에서 1등급을 확보한 자동차가 없는 것을 보니 불완전한 기종으로 생각된다. 아직은 내연기관이 조금 더 안정적인 것으로 보인다. 

241226(조간)_2024년_가장_안전한_자동차는(자동차정책과).pdf
0.85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