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layout-aside-lef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정부정책(국토교통부,기획재정부,금융위원회,국세청)

2025년 1월부터 청년 도약 계좌금 기여금 확대

by 선혜윰파운더 2025. 1. 3.

23년부터 처음 시행되어 오던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보다 강화된 지원을 2025년에 시행한다고 합니다. 해당 내용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청년도약계좌란 ?  

청년도약계좌는 2023년 6월 15일부터 청년들의 안정적인 자산 형성을 돕고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 정부 지원 금융 상품입니다. 높은 물가와 경제적 어려움, 안정적인 노후 준비를 위해 정부는 청년도약계좌 가입자에게 매칭 자금을 지원하고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여 더욱 빠르게 자산을 불릴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 대상: 만 19세부터 34세까지의 청년
  • 가입 기간: 5년 납입 한도, 월 최대 70만 원
  • 정부 지원: 소득 수준에 따라 매월 최대 2만 4천원의 정부 기여금 지급 
  • 세제 혜택: 이자소득 비과세
  •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 소득 / 재산 요건에 따라 다르므로 가까운 은행 및 서민금융진흥원 등에 문의 필요.(서민금융진행원: https://ylaccount.kinfa.or.kr/main)

□ 2025년 청년도약계좌 개선 사항

  • 기여금 지원 확대 : 개인 소득 수준에 따라 최대 2.1 ~ 2.4만원 → 2.1만 원 ~ 3.3만 원으로 저소득 청년에 대해 더욱 많은 기여금 지원을 확정함. 

기여금 지원 확대

 

  • 3년 이상 유지시 혜택 강화  : 만기 5년을 유지해야지만 비과세 및 기여금 지원이 가능했으나, 3년 이상 유지 시에도 비과세, 기여금 지원 혜택을 유지함. 

청년도약계좌 유지 기간 및 혜택

  • 성실 납입 시 개인 신용평가 점수 가점 부여 : 개인 신용평가 점수 부여가 없었으나 25년부터는 신용평가점수 가점을 최소 5 ~ 10점 부여하는 것으로 함. 

개인신용평가 점수 가점 부여

  • 부분 인철 서비시 이용 : 2년 이상 유지한 경우, 납입원금의 40% 이내에서 부분 인출 가능함. 

부분인출서비스 이용

□ 2025년 청년도약계좌 가입 신청 방법

  • ’ 25.1월 청년도약계좌 가입신청 기간은 1월 2일부터 10일(영업일만 운영)
  • 취급은행 창구 및 모바일앱에서 간편하게 가입신청 : 농협, 신한, 우리, 하나, 기업, 국민, 아이엠, 부산, 광주, 전북, 경남은행
  • 1인 가구 청년은 1월 16일부터 2월 7일(영업일만 운영)까지, 2인 이상 가구 청년은 1월 27일부터 2월 7일(영업일만 운영)까지 계좌 개설이 가능하다.
  • 자세한 안내는 아래 홈페이지 및 콜센터를 참고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홈페이지(https://ylaccount.kinfa.or.kr) 또는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https://www.kinfa.or.kr)를 참고하거나, 청년도약계좌 비대면 상담센터(1397→바로‘3’ 번, 영업일 오전 9시~오후 6시 30분(통화료 무료))

2025년 청년도약계좌 1월 가입 일정

* 나의 생각 : 소득/재산 요건이 맞는 19세 이상 청년들은 가능하면 모두 가입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정부에서 돈도 지원해 주고 비과세 혜택도 주는데 이런 걸 놓친 다는 것은 너무 아쉬운 듯하다. 

(금융위)241227(보도참고) 예금자 보호를 강화하고 금융시장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예금보호한도를 상향합니다.pdf
0.33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