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layout-aside-lef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정부정책(국토교통부,기획재정부,금융위원회,국세청)

2024년 가계대출 동향 : 빚이 늘어나는 사회.

by 선혜윰파운더 2025. 1. 29.

2025년 1월 16일,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2024년 연간 및 12월 가계대출 동향은 가계의 금융 상황을 이해하고, 이번은 연간 동향, 12월 동향, 그리고 가계대출 현황의 시사점과 대응 방안을 살펴보겠습니다.

2024년 연간 가계대출 동향 현황

  • 총 대출 규모와 증가율: 2024년 가계대출 총규모는 약 1,900조 원을 넘어섰으며, 전년 대비 41.6조 원이 증가했습니다. 이는 2023년 대비 증가율이 확대된 수치로, 금리 완화와 부동산 거래 회복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습니다.

全금융권 가계대출 증감액 추이
가계대출 총액 추이

  • 대출 유형별 동향: 
    • 주택담보대출: 연간 기준 5.7% 증가하며 약 1,200조 원을 기록했습니다. 부동산 거래량 증가와 신규 분양 시장의 활성화가 주요 배경입니다.
    • 기타 대출: 기타 대출은 전년 대비 2.5% 감소한 약 660 조원을 기록하였으며 주택 담보대출 이외는 소비 및 투자 심리 위축으로 오히려 대출이 감소한 상황을 보이고 있습니다. 

대출항목별 가계대출 증감액 추이

  • 금리와 대출 상환 상황: 
    • 2024년 후반기 기준금리가 3.5%에서 3.0%로 하락하며 대출 부담이 완화되었습니다.
    • 그러나, 가계부채 총액 대비 가처분 소득 비율(DSR)이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며 금융 취약 계층의 상환 부담은 지속되고 있습니다.

2024년 12월 가계대출 동향 현황

  • 월간 대출 증가율: 12월 한 달간 가계대출은 약 2.0조 원 증가했습니다. 스트레스 DSR 2단계 시행과 주택거래 감소로 인해 증가폭은 축소되었습니다. 
  •  주택담보대출: 12월 주택담보대출은 약 3.4조 원 증가했습니다. 부동산 매매와 전세 거래가 감소하였지만, 여전히 주택 대출 중심으로 가계 대출이 증가함을 보이고 있습니다.

24년 월별 대출항목별 가계대출 증감 추이

* 나의 생각 : 22년 가계대출 감소 이후, 24년까지 지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주택 가격과 거래량의 회복으로 가계의 주택담보 대출이 증가한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의 가계부채는 지속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다만, 증가율을 경제 성장률 이하로 관리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250115(보도자료) 2024년 중 가계대출 동향(잠정).pdf
0.24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