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layout-aside-lef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정부정책(국토교통부,기획재정부,금융위원회,국세청)

2024년 12월 23일 한국은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다

by 선혜윰파운더 2025. 1. 4.

인구 감소와 고령화는 우리 사회의 많은 문제점을 야기할 것이라고 얘기가 되고 있다. 2024년 12월 23일 드디어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다. 

□ 고령화 사회 구분

고령화 사회와 초고령화 사회는 특정 국가나 지역의 고령 인구 비율을 기준으로 정의됩니다. 이 기준은 보통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로 평가합니다. 다음은 주요 분류 기준과 정의입니다.

  • 고령화 사회 (Aging Society) 정의: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가 7% 이상인 사회 특징: 고령 인구의 비중이 증가하면서 사회적, 경제적 구조의 변화가 시작되는 단계
  • 고령 사회 (Aged Society) 정의: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가 14% 이상인 사회 특징: 고령 인구 비율이 본격적으로 높아지면서 노동력 부족, 복지 부담 증가 등 본격적인 고령화 문제를 겪게 되는 시점
  • 초고령 사회 (Super-Aged Society) 정의: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가 20% 이상인 사회 특징: 고령화의 영향이 극대화되며, 의료, 복지, 연금 시스템 등에서 심각한 사회적 과제가 발생

□ 한국의 고령화 사회 현황

  • 주민등록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12월 23일 20%를 넘었다.  행정안전부는 12월 23일 기준 65세 이상 주민등록 인구는 1,024만 4,550명으로 전체 주민등록 인구 5,122만 1,286명의 20.00%를 차지한다고 밝혔다. 
  • 65세 이상 주민등록 인구 비중을 성별로 보면, 남자는 17.83%, 여자는 22.15%로 여자의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남자보다 4.32% p 더 높다.

65세 이상 인구 및 비중 추이

  • 65세 이상 주민등록 인구 비중을 권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전체 주민 등록 인구(2,604만 6,460명) 중 17.70%, 비수도권은 전체 주민등록 인구 (2,517만 4,826명) 중 22.38%로 비수도권의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수도권보다 4.68% p 더 높다.

수도권 vs 비수도권 65세 이상 인구 및 비중 비교

  • 시·도별 65세 이상 주민등록인구 비중은 전남이 27.18%로 가장 높고, 경북, 강원, 전북, 부산, 충남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낮은 곳은 세종으로 11.57%이다.

시도별 65세 이상 인구 및 비중

* 나의 생각 : 초고령화로 진입한 대한민국은 이제 소비 위축 및 생산성 감소가 될 수밖에 없다. 이런 시점에 이에 대한 마련을 위한 전담 부서 마련이 시급한다.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부동산도 초양극화, 정치 및 사회도 초양극단화, 나는 계속 얘길 해왔다. 2022년 대한민국은 일본의 잃어버린 30년이 시작되었다고. 각자도생의 시대 잘 살아남아보자.

241224 (즉시) 65세 이상 인구 비중 20% 기록(주민과).pdf
0.22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