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 24년 6월 기준 주택 통계를 공표하였다.
(건설)
’24년 6월 기준 주택 착공, 분양은 전년 동월 대비 증가하였고, 인허가, 준공은 전년 동월 대비 감소하였다.
- 인허가는 6월 기준 23,886호로 전년 동월(36,912호) 대비 35.3% 감소하였다. 1~6월 누계 기준 149,860호로 전년 동기(202,808호) 대비 26.1% 감소.
- 착공은 6월 기준 20,712호로 전년 동월(16,500호) 대비 25.5% 증가하였다. 1∼6월 누계 기준 127,249호로 전년 동기(97,583호) 대비 30.4% 증가.
- 분양(승인)은 6월 기준 21,655호로 전년 동월(19,777호) 대비 9.5% 증가하였다. 1∼6월 누계 기준 112,495호로 전년 동기(66,447호) 대비 69.3% 증가.
- 준공은 6월 기준 35,922호로 전년 동월(48,973호) 대비 26.6% 감소하였다. 1∼6월 누계 기준 219,560호로 전년 동기(206,556호) 대비 6.3% 증가
(거래량)
6월 주택 매매거래량(신고일 기준)은 총 55,760건으로, 전월 대비 2.9% 감소하였고, 전월세 거래량(신고일 기준)은 총 192,738건으로, 전월 대비 15.4% 감소하였다.
- 1∼6월 누계 기준 매매거래량은 310,751건으로 전년 동기(274,608건) 대비 13.2% 증가
- 1∼6월 누계 기준 전월세거래량은 1,424,027건으로 전년 동기(1,461,664건) 대비 2.6% 감소
(미분양)
’24년 6월 말 기준 미분양주택은 총 74,037호로 전월 대비 2.6% 증가하였으며, 준공 후 미분양은 14,856호로 전월 대비 12.3% 증가하였다.
* 나의 생각 : 주택 거래량은 소폭 감소했으나 상승 후 일시적 보합으로 판단되며 하반기에는 금리 인상이 예상되어 집값 상승 = 매매 거래량 증가로 이어질 것 같다. 미분양은 분양 단지가 많아지고 있어, 조금 증가하고 있으나 그렇게 큰 위험 요인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과연 대세 상승일지는 지켜봐야 할 듯하다.
'땅땅거리고 살자(부동산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8월 8일 주택 공급 확대 방안이라고 발표하고 집값 상승을 바란다로 읽힌다. (0) | 2024.08.12 |
---|---|
김포한강 제2 신도시, 2030년 첫 분양. (1) | 2024.08.04 |
2024년 아파트 시공사, 건설사, 브랜드 시공 능력 평가 결과, 내 집 마련 시 참조하세요. (0) | 2024.08.02 |
주택 임대차계약 신고 모바일로 가능합니다. (0) | 2024.07.30 |
목2동 232일대 신속통합기획 확정, 580세대 공급. (0) | 2024.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