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부정책(국토교통부,기획재정부,금융위원회,국세청)

2024년 8월 가계 대출 동향 : 급증하는 이유와 전망

by 선혜윰파운더 2024. 9. 20.

2024년 8월, 대한민국의 가계대출이 전월 대비 9.8조 원 증가하며 3년 만에 최대폭으로 증가했습니다. 이번 블로그 글에서는 이러한 급증의 원인과 향후 전망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가계대출 급증의 배경

8월 가계대출의 급증은 여러 요인에 기인합니다.

  • 첫째,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의 증가가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8월 한 달 동안 주담대는 8.5조 원 증가하여 전월 대비 큰 폭으로 확대되었습니다. 이는 서울 및 수도권 중심의 부동산 상승세와 맞물려 주택 구매 수요가 급증했기 때문입니다.
  • 둘째, 기타 대출의 증가도 눈에 띕니다. 은행권의 기타 대출은 1.1조 원 증가하여 전월 대비 증가세로 전환되었습니다. 이는 신용대출의 증가가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습니다.

가계대출 증감 추이
은행권 주담대 현황

금융당국의 대응

금융당국은 가계부채 관리를 위해 다양한 조치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9월부터는 2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상환비율(DSR) 규제가 도입되어, 은행권이 취급하는 수도권 주담대에 대해 강화된 스트레스 금리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조치는 가계부채 증가세를 억제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입니다. 또한, 금융당국은 가계부채 증가세가 지속될 경우 추가적인 관리수단을 과감하게 시행할 계획입니다. 이는 주택시장 과열과 가계부채 급증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로, 금융회사들도 책임감을 가지고 대출관리에 만전을 기할 것을 당부하고 있습니다.

향후 전망

가계대출의 급증은 단기적으로는 주택시장과 금융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가계부채 부담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특히, 금리 인상 가능성과 부동산 가격 변동성 등을 고려할 때, 가계부채 관리가 더욱 중요해질 것입니다. 금융당국은 가계부채 증가세를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필요시 추가적인 조치를 시행할 계획입니다. 따라서, 가계대출을 고려하는 가구들은 신중한 대출 계획을 세우고, 금융당국의 정책 변화를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 나의 생각 : 시장에 정부의 정책이 먹히지 않고 있다. 스트레스 DSR을 24.7월 시행에서 9월로 연기하였으며, 더불어 주담대 각 은행에 줄여라 하고 압박하더니, 여론의 불만이 많으니 그렇게 심하게 하라고 한 적은 없으며 은행의 자율에 맡겼다. 뭐하자는 것인지, 여하튼 부동산이라 거대한 항공모함은 일단 상승으로 방향을 틀었다. 따라서, 당분간 상승은 지속될 것을 보인다. 

(금융위)240911(보도자료) 2024년 8월중 가계대출 동향(잠정).pdf
0.25MB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