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부정책(국토교통부,기획재정부,금융위원회,국세청)

2025년 대한민국 예산안 총정리: 세입과 세출, 국가 재정의 향방은?

by 선혜윰파운더 2025. 2. 21.

2025년 대한민국의 나라살림 예산안이 발표되었습니다. 이번 예산안은 정부의 재정운용 방향과 국가 주요 사업 추진 전략을 담고 있어 경제 및 정책 변화에 관심 있는 사람들에게 중요한 정보가 될 것입니다. 본 글에서는 2025년 예산안의 주요 내용을 분석하고, 국민 생활과 경제에 미칠 영향을 살펴보겠습니다.

1. 2025년 예산 총규모 및 주요 특징

2025년도 대한민국 예산안 총지출 규모는 677조 4천억 원으로, 전년 대비 3.2%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관리재정수지 적자가 △2.9%**로 축소되고, 국가채무 비율이 48.3%로 유지되는 등 재정 건전성을 고려한 결과입니다. 정부는 이번 예산안을 통해 민생 안정과 경제 성장, 구조 개혁을 중점적으로 추진하며, 재정 지출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2. 주요 세입 및 세출 내역

(1) 세입 규모

2025년 총수입 전망

  • 2025년 총수입 규모는 651.6조 원으로, 전년 대비 6.4% 증가
  • 국세 수입: 382.4조 원 (전년 대비 4.1% 증가)
  • 기금 수입: 232.8조 원 (전년 대비 7.4% 증가)

국세 수입 증가율이 낮은 이유는 경기 침체로 인해 기업과 개인의 소득세, 법인세 증가 폭이 크지 않기 때문입니다. 반면, 기금 수입은 국민연금과 고용보험 기금 확대로 인해 증가했습니다.

(2) 세출 규모

정부는 2025년 예산안을 통해 다음과 같은 주요 분야에 집중적으로 재원을 배분하였습니다.

① 맞춤형 약자복지 확대

  • 중위소득을 역대 최대인 6.4% 인상하여 생계급여 및 복지 지원 강화
  • 한부모 가정 지원을 위한 양육비 국가 선지급제 도입
  • 기초생활수급자의 자립 지원을 위한 자활성공금 최대 150만 원 지급
  • 공공주택 25만 2천 호 공급으로 서민 주거 안정 도모

② 경제 활력 회복

  • 반도체, 인공지능(AI), 바이오 등 미래 성장 산업에 6조 2천억 원 투자
  • 소상공인 맞춤형 지원 확대: 정책자금 상환 기간 연장, 배달비 연 30만 원 지원
  • 건설업 및 수출 지원: PF사업장 매입을 통한 임대주택 공급, 방산·원전 산업 투자

③ 미래 대비 투자

  • 저출생 해결을 위한 육아휴직 급여 인상 (150만 원 → 최대 250만 원)
  • 청년 주거 및 자산 형성 지원: 청년 도약 계좌 정부 매칭한도 확대
  • 국가 연구개발(R&D) 예산 29조 6천억 원 투자로 첨단 산업 경쟁력 강화

④ 안전한 사회 구축 및 글로벌 외교 강화

  • 범죄 예방 예산 4천억 원 투입 (딥페이크, 보이스피싱 대응)
  • 자연재해 대응 예산 5조 2천억 원 투입 (풍수해 정비사업 확대)
  • 공적개발원조(ODA) 예산 6조 7천억 원으로 글로벌 영향력 확대

3. 2025년 예산안이 국민에게 미치는 영향

이번 예산안의 핵심은 건전재정을 유지하면서도 민생 회복과 미래 투자를 조화롭게 추진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국민 생활에 미치는 주요 영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저소득층 및 취약 계층 지원 확대: 생계급여, 한부모 양육비, 공공주택 공급이 늘어나면서 서민층의 생활 안정이 기대됩니다.
  • 청년 및 미래 세대 지원 강화: 일자리 창출, 주거 대출 지원, 연구개발 투자 증가로 청년층이 직면한 문제 해결에 기여할 것입니다.
  • 경제 성장 동력 확보: 반도체, AI, 바이오 등 첨단 산업 지원이 강화되면서 기업 성장과 일자리 창출 효과가 기대됩니다.
  • 사회 안전망 강화: 범죄 예방 및 자연재해 대응 예산 확대가 국민 안전을 보다 강화할 것입니다.

4. 결론

2025년 대한민국 예산안은 경제 활성화와 민생 안정, 미래 대비 투자라는 세 가지 핵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균형적으로 설계되었습니다. 정부는 국가 채무 비율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도, 민생 지원과 산업 육성에 집중하여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루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번 예산안이 국민 생활과 경제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지, 그리고 정부가 계획한 재정운용이 효과적으로 실행될지에 대한 관심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앞으로도 재정 정책의 변화와 그 영향을 지속적으로 살펴보며, 현명한 경제적 판단을 할 수 있도록 대비해야 할 것입니다.

* 나의 생각 : 1%대의 저성장 시대에 재정 건전성만을 외치는 정부가 맞는지 모르겠다. 민간 가계 부채는 100% 이상을 넘어가, 지속 증가하는데, 정부만 부채 안정성을 유지하겠다? 이는 곧 정부의 빚을 개인에게 전가하는 것은 아닌지 다시 한번 생각해 볼 문제이다. 

2025 나라살림 예산개요.pdf
5.05MB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