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부정책(국토교통부,기획재정부,금융위원회,국세청)208

서울시 역세권 활성화 '주요간선도로변' 까지 확대, 용적률 인센트브 통한 콤팩트시티 신호탄 쏜다. 3월 5일 서울시에선 역세권 활성화를 위해 주요 간선도로변까지 상업지역을 확대하여 콤팩트 시티를 만든다고 해요. 그럼 어떻게 될까 알아볼까요? Go ~ Go ~.배경서울시는 도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역세권 활성화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 사업은 지하철역 승강장 350m 이내의 가로구역에 해당하는 부지의 용도지역을 상향해 용적률을 높여주고, 증가한 용적률의 50%를 공공기여로 받아 지역에 필요한 시설을 확충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번에는 역세권에 이어 주요 간선도로변을 복합 개발하여 서울 도시 공간 대개조의 한 축을 담당하게 됩니다. 계획간선도로변 ‘노선형 상업지역’ 정비·활성화주요 간선도로변은 띠 모양으로 지정된 노선형 상업지역으로, 오랜 기간 건축 규모·배치.. 2024. 3. 9.
24년 1월 대한민국 인구 이동의 숨겨진 이유. 24.1월 중 대한민국 인구 이동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부동산 투자 등에 활용할 방법이 없을지 뜯어보자. 1. 전국 인구 이동 2024년 1월 이동자 수는 59만 7천 명, 전년동월대비 18.0%(9만 1천 명) 증가하였다. 전입/전출이 늘어나는 것을 보니 부동산 거래량의 증가도 어느 정도 이해가 된다. 특히, 매년 1월 ~ 3월의 인구 이동이 많은 것은 새 학기 시작으로 인한 이동이 아닐까로 추정된다. 총 이동자 중 시도 내 이동자는 63.0%, 시도 간 이동자는 37.0%를 차지함. 전년동월대비 시도내 이동자는 21.3% 증가하고 시도간 이동자는 12.7% 증가함. 인구이동률(인구 백 명당 이동자 수)은 13.8%, 전년동월대비 2.2% p 증가함. 2. 시도별 인구 이동 2024년 1월 시.. 2024. 3. 8.
스트레스 DSR 때문에 스트레스 받네요. 2월 26일부터 스트레스 DSR이 시작됩니다. 가뜩이나 돈이 안 벌려서 스트레스들 받는데, 이제 대출까지 스트레스를 주네요. 1. 스트레스 DSR이 뭔가요? DSR(Debt Service Ratio) 은 차주(돈 빌리는 사람)의 연간 원리금 상환 부담을 계산하는 지표입니다. 스트레스 DSR은 기존 DSR에 미래 금리 변동 위험을 반영하여 한도 산정 시 일종의 가산금리(스트레스 금리)를 부과하여 대출 한도를 결정하는 제도입니다. 2. 왜 도입한 거예요? 기존 DSR은 대출 취급 시점의 금리를 기준으로 원리금 상환 부담을 계산합니다. 그러나 변동금리 대출을 이용한 차주가 대출 기간 중 금리 상승에 직면하면 DSR 규제 수준을 넘어서 높은 상환 부담을 감당해야 합니다. 금리 변동 위험을 정교하게 반영하는 방법.. 2024. 3. 7.
2024년 서울 서남권, 준공업지역에서 직‧주‧락(職住樂) 미래첨단도시로 혁신을 한다구? 서울 서남권, 준공업지역에 직(직장). 주(주거). 락(즐거움)을 주는 미래첨단도시를 만든다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이 것을 일명 '서울 도시 대개조 1탄'으로 서남권을 개발한다고 한다. ■ 서남권이 어딘데? -. 구로구, 영등포구 일대, 준공업지역을 얘기한다. ■ 개발 방향은 어떻게 되나요? 1. 산업혁신: 준공업지역을 미래 융복합산업 집적지로, 수도권 인접 가용부지 적극 개발 첫째, 새로운 산업중심지로 재도약하기 위해 수십년간 도시정비를 저해한 규제와 제도를 개선해 제조업 중심의 준공업지역을 미래 첨단‧융복합산업공간으로 혁신한다. 아울러 기반시설을 효율적으로 활용해 새로운 성장거점으로 구축하고 인접 수도권 접점 지역의 대규모 부지개발로서 남부 동반성장 거점으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서울 준공업지역.. 2024. 3. 5.
24년 1월 주택 통계 발표 결과를 훑어 보시죠.(feat. 국토교통부) 29일 윤일에, 24년 첫 달의 주택 통계가 발표되었네요. 하나씩 훑어보면서, 우리의 투자 포인트를 함, 뽑아보시죠. https://www.molit.go.kr/USR/NEWS/m_71/dtl.jsp?lcmspage=1&id=95089485 국토교통부에서 알려드립니다 www.molit.go.kr ■ 주택 건설 : 건설은 인허가부터 ~ 준공까지 전년 대비 증가 추세이네요. 1. 인허가 : 전년 대비 20.5% 증가. 수도권 1.0만호로 108.5% 증가하였지만 지방은 1.5만 호로 8.2% 감소였네요. 인허가 수치로 보면은 수도권 주택 시장이 그나마 나은 상태로 보입니다. 2. 착공 : 전년 대비 47.2% 증가. 착공은 수도권이 지방보다 더 양호한 상태이며 20년 부터 지속적으로 수도권 쪽으로 착공이 많.. 2024. 3. 1.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