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를 외치다(블로그)

검색광고 캠페인 관리 전략을 이해한다.

by 선혜윰파운더 2024. 2. 14.

■ 검색광고 캠페인 관리 전략을 이해하고 설명한다.

> 광고구조의 흐름은 캠페인 → 광고그룹 → 키워드 → 소재로 이어지며, 이중 가장 상위 카테고리인 캠페인에 대해 제일 먼저 알아보고자 한다.

> 캠페인 만들기는 광고의 유형, 광고 노출기간, 예산 설정 등을 하는 단계이다.  즉, 언제부터 얼마의 예산으로 광고 진행을 어느 곳을 할 것인지, 큰 틀의 광고 전략을 설정하는 단계이다. 

> 네이버 광고 → 광고관리 → 광고만들기 → 캠페인 만들기로 먼저 들어간다. 캠페인 만들기는 검색광고의 유형, 파워링크 / 쇼핑검색/파워컨텐츠 등 광고주가 만들고 싶어하는 유형을 선택한다.

> 캠페인 이름은 임의로 아무거나 넣어도 되나, 통상 노출되는 광고의 제품을 기초로 하는 것이 좋다. 더불어, 하루 예산을 세팅하면 된다. 

■ 캠페인 분류기준

> 캠페인은 최상의 광고단위로 광고를 통해 얻고 싶은 목표 설정에 따라 하기와 같이 분류가 가능하다. 

> 분류 기준은 웹사이트 방문증가, 액션유도, 구매유도, 전화통화 유도, 오프라인 매장 방문유도, 회사/브랜드 홍보등, 목적에 맞게 캠페인을 설정하는 중요하다. 

> 웹사이트 방문 증가 유도를 위해 사용되는 가장 보편적인 방법이 "리타켓팅" 이다. 그럼 리마케팅과 뭐가 다른가?리타켓팅은 내 사이트를 한 번 방문한 사람에게 지속적으로 해당 제품을 배너광고로 띄워주는 것이고, 리마케팅은 해당 방문자에게 메일을 통한 제품 홍보 및 설명을 하는 것이라고 한다. 

■ 캠페인 분류 예시

> 캠페인은 분류 기준을 확정하면 최상의 효과를 보기 위해 하기와 같이 6가지 형태로 캠페인을 상세하게 분류 및 설정을 진행한다. 

> 어느 기기에 노출 시킬건지, PC or 모바일, 아님 둘다에 모두 노출 시킬 건지를 선택한다. 

> 예산에 따라 고효율 광고에 집중할 건지, 아님 저효율 광고라도 지속할건지 등을 선택한다. 

> 카테고리는 기기별 설정과 같이 가장 많이 활용되는 캠페인 분류 기준이 된다. 

광고구조 중 최상인 단위인 "캠페인", 캠페인은 얻고 싶은 광고 목적에 따라 광고의 분류 기준을 설정하는 것이다.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