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를 외치다(블로그)

검색광고지표를 통해 효과 분석을 이해한다.

by 선혜윰파운더 2024. 2. 17.

■ 사용자의 행동 단계 분석

> 사용자의 행동 단계 분석은 광고를 통해 사용자가 어떤 행동을 보이는지 이해하는 과정이다.
> 주요 단계는 다음과 같다.

1. 노출 (Impression): 광고가 사용자에게 보여진다.
2. 클릭 (Click): 사용자가 광고를 클릭하여 광고주의 웹사이트로 이동한다.
3. 전환 (Conversion): 사용자가 원하는 행동을 수행한다. 이는 구매, 가입, 다운로드 등이 될 수 있다.

이 단계를 분석하여 광고 효과를 평가하고 개선할 수 있다. 

■  효과분석의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 광고 효과분석은 광고 비용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중요일이다. 광고를 통해 얼마나 많은 사용자가 원하는 행동을 수행했는지 알아야 한다. 이를 통해 광고 예산을 최적화하고 더 많은 성과를 내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 효과 분석은 평균적으로 2주 ~ 4주 단위로 체크해 보는 것이 좋다. 

■  효과분석 위한 목표 설정 방법을 알아본다.

> 목표 설정은 광고 효과분석의 핵심이다. 목표는 광고를 통해 얻고자 하는 결과를 정의한다. 예를 들면, 판매량 증가, 회원 가입 수 증가, 웹사이트 방문자 수 증가 등이다. 목표를 구체적으로 설정하고 측정 가능한 지표를 정의해야 한다.

> KPI(Key Performance Index, 핵심성과관리지표) 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불어 구체적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광고 효과 분석 방법에 대해 배워본다.

> CPI (Cost Per Impression): 광고비를 노출수로 나눈 비용이다. 노출수가 많을수록 광고 효과가 높다고 볼 수 있다.

> CPC (Cost Per Click): 광고를 클릭한 사용자당 비용이다. 클릭당 비용이 낮을수록 광고 효과가 높다.

> CPS (Cost Per Sale): 광고를 통해 상품을 구매한 비용이다. 구매건당 비용이 낮을수록 광고 효과가 높다.

> ROI (Return On Investment): 투자수익률로, 광고를 통한 수익을 광고비로 나눈 비율이다.

> ROAS (Return On Advertising Spend): 광고비에 따른 매출액의 크기를 나타내는 수치이며, 광고 결과를 나타내는 대표적 지수이다. But ROAS는 비율이기 때문에 너무 맹신하지 말고, 발생하는 수익의 절대 값도 같이 봐야한다. 

그이외도 분석 방법에는 판매량 증가, 회원 가입 수 증가, 웹사이트 방문자 수 증가 등 목표를 구체적으로 설정하고 측정 가능한 지표를 정하여 광고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  광고 효과 분석 흐름은 다음과 같다.

> 광고 관련 정보를 본다 → 매출 관련 정보를 조사한다 → 광고효과를 분석한다 → 분석 결과를 통해 광고 세팅을 보정 한다. 

검색 광고에 대한 개념, 효과 분석을 배우고 있으나, 생소하니 어렵다. 그래도 계속 배우면서 나아가자.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