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대 때는 한국은 단일민족, 백의민족이라는 교육을 대부분 받아왔습니다. 하지만 이제 그런 교육을 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이 달라졌네요. 최근 발표된 국내 거주 외국인 주민 수에 대한 최신 통계를 바탕으로, 그 의미와 향후 전망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국내 거주 외국인 주민 수, 역대 최다 기록 경신
2023년 11월 1일 기준, 국내에 장기 거주하는 외국인 주민 수가 총 246만 명에 달하며 역대 최다 기록을 경신했습니다. 이는 국내 총인구의 4.8%에 해당하며, 100명 중 5명이 외국인인 셈입니다. 이러한 증가 추세는 외국인 근로자와 유학생의 급증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외국인 주민의 유형별
현황 외국인 주민을 유형별로 살펴보면, 한국 국적을 가지지 않은 외국인 근로자와 유학생이 193만 5150명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전년 대비 10.4% 증가한 수치입니다. 또한, 한국 국적을 취득한 외국인 주민은 23만 4506명으로 4.8% 증가했으며, 국내에서 출생한 외국인 주민 자녀는 28만 9886명으로 2.8% 증가했습니다.
지역별 외국인 주민 분포
외국인 주민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지역은 경기도로, 총 80만 9801명이 거주하고 있습니다. 그 뒤를 이어 서울(44만 9014명), 인천(16만 859명), 충남(15만 5589명), 경남(15만 643명)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외국인 주민의 57.8%가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으며, 안산, 화성, 시흥, 수원, 부천 등 경기도 내 주요 도시들이 외국인 주민이 많이 거주하는 상위 5개 지역에 포함되었습니다.
외국인 주민 증가의 원인과 영향
외국인 주민 수의 증가는 주로 외국인 근로자와 유학생의 유입 증가에 기인합니다. 외국인 근로자는 전년 대비 16.6% 증가한 47만 250명, 유학생은 8.9% 증가한 20만 6329명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증가 추세는 국내 노동 시장과 교육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외국인 주민들이 한국 사회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습니다.
주요 국적별 구성비는 중국(한국계) 27.5%, 베트남 12.8%, 중국 11.4%, 태국 9.9% 순을 보이고 있습니다.
향후 전망과 과제
외국인 주민이 국내 인구의 4.8%를 차지하며 우리 사회의 주요 구성원으로 자리 잡고 있는 만큼, 이들이 각 지역에 원활히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언어 교육, 직업 훈련, 문화 적응 프로그램 등을 통해 외국인 주민들이 한국 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입니다.
* 나의 생각 : 내 어릴적 외국인을 보면 신기하듯 쳐다보았는데, 이젠 흔한 일이 되었다. 인구 소멸국가인 한국에선 이런 국내 거주 외국인을 통하여 우리나라의 외교와 경제에 도움이 되는 방향의 정책을 마련하고 실행해야 할 것이다. 일정 기간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에 대해선 외교관 채용 및 행정 참여의 기회를 확대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정부정책(국토교통부,기획재정부,금융위원회,국세청)'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상반기 가상자산 시장, 다시 뜨겁게 달궈지나? 금융위 실태조사 결과 분석! (4) | 2024.11.08 |
---|---|
30조원 세수 결손과 대응책 : 2024년 9월 국세수입 현황과 재정 대응 방안 (8) | 2024.11.06 |
IMF가 내다본 세계 경제, 한국 경제는?10월 세계경제전망 심층분석 (6) | 2024.10.31 |
유류세 인하 연장, 정말 우리에게 득일까? 꼼꼼히 따져보는 10월 세제 개편 (2) | 2024.10.30 |
국가보훈등록증으로 비행기 탑승가능 : 국토부의 새로운 항공보안법 시행 규칙 (1) | 2024.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