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땅땅거리고 살자(부동산투자)

2025년 1월 주택 시장, 어디로 가고 있나? 핵심 데이터 분석! (건설, 거래량, 미분양 완벽 정리)

by 선혜윰파운더 2025. 3. 6.

안녕하세요, 부동산 트렌드를 발 빠르게 전해드리는 선혜윰파운더입니다!  2025년 새해가 밝았지만, 여전히 부동산 시장은 안갯속을 헤매는 듯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5년 1월 주택 통계를 낱낱이 파헤쳐, 여러분의 궁금증을 해소해 드리려 합니다. 건설, 거래량, 미분양 현황까지 핵심만 쏙쏙 뽑아 정리했으니, 놓치지 마세요!

건설: 서울은 웃고, 지방은 울고? 엇갈린 인허가 실적

1월 주택 건설 시장은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희비가 극명하게 엇갈리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 수도권: 전년 동월 대비 37.9% 증가한 15,128호 인허가! 특히 서울은 2,783호로 11.3% 증가하며, 수요가 많은 지역의 공급 기대감을 높였습니다.
  • 비수도권: 전년 동월 대비 50.7% 감소한 7,324호 인허가... 지방 부동산 시장의 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해석 및 인사이트 :  착공, 분양, 준공 실적은 전반적으로 감소했지만, 서울의 인허가 실적 증가하여 수도권과 비수도권간의 부동산 시장 양극화는 지속 확대될 듯합니다. 

2025년 1월 주택건설실적 추이

거래량: 매매, 전월세 모두 감소! 관망세 짙어지나?

1월 주택 매매 및 전월세 거래량은 모두 전월 대비 감소하며, 시장의 관망세가 짙어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 매매: 38,322건으로 전월 대비 16.5% 감소. 수도권(-11.8%)보다 비수도권(-20.3%)의 감소 폭이 더 컸습니다.
  • 전월세: 200,677건으로 전월 대비 7.9% 감소. 수도권(-9.2%), 비수도권(-5.5%) 모두 감소했습니다.

해석 및 인사이트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3,233건으로 전월 대비 11.6% 감소했지만,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역시 서울만 나 홀로 활발한 시장상황을 보이고 있습니다. 

2025년 1월 전국주택거래현황

미분양: 전국적으로 증가! 준공 후 미분양도 늘어...

1월 말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총 72,624호로, 전월 대비 3.5% 증가했습니다. 특히 준공 후 미분양이 22,872호로 6.5% 증가하며, 악성 미분양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 수도권: 19,748호로 전월 대비 16.2% 증가
  • 지방: 52,876호로 전월 대비 0.6% 감소 (미미한 수준)

해석 및 인사이트  미분양 증가는 건설사의 자금난을 심화시키고, 주택 공급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제발 정부가 인위적으로 개입하지 않았으면 합니다. 시장의 공급과 수요에 의해 자연스럽게 해결될 겁니다. 

2025년 1월 전국 미분양주택현황 추이

2025년 1월 주택 통계, 핵심 요약!

구분 수도권  비수도권 서울
인허가  증가  
(전년 동월 대비 37.9% 증가)
 감소
(전년 동월 대비 50.7% 감소) 
증가
(전년 동월 대비 11.3% 증가) 
매매 거래량 감소 (전월 대비 11.8% 감소)   감소 (전월 대비 20.3% 감소) 감소 (전월 대비 11.6% 감소)
전월세 거래량 감소 (전월 대비 9.2% 감소) 감소 (전월 대비 5.5% 감소) -
미분양 증가 (전월 대비 16.2% 증가) 감소
(전월 대비 0.6% 감소,
미미한 수준)
-

2025년 1월 주택 통계는 불확실성과 혼조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금리 인상, 경기 침체 우려, 정부 정책 등 다양한 변수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시장의 방향성을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지역별, 유형별 차별화가 심화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서울과 수도권 일부 지역은 여전히 높은 수요를 유지하고 있지만, 지방은 미분양 증가와 거래량 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따라서, 실수요자라면 자신의 상황과 목적에 맞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무리한 투자보다는 안정적인 선택을 하고, 정부 정책 변화와 시장 동향을 꾸준히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나의 생각 : 25년 1월 주택 통계 데이터로 보면은 부동산 시장은 하향 방향을 가리키고 있습니다. 하지만 서울은 계속적으로 타 지역대비 거래 활성화가 되고 있어, 당분간 서울 부동산 시장의 집중은 지속될 듯합니다. 

 

250228(석간)_‘25년_1월_주택_통계(주택정책과).pdf
1.34MB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