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땅땅거리고 살자(부동산투자)139

남양주로 8호선 연장되었습니다. 잠실까지 27분입니다. 서울 도시철도 8호선 연장선인 별내선이 8월 10일(토요일) 새벽 첫 차(별내→ 모란 방향 05:32분, 암사 →  별내 방향 05:28분) 를 시작으로 운행을 개시하였습니다. [별내선 개통의 배경]별내선은 서울 지하철 8호선을 암사역에서 남양주시 별내역까지 연장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총 12.9km의 길이로, 암사역사공원, 장자호수공원, 구리, 동구릉, 다산, 별내 등 6개의 새로운 역이 신설되었습니다. 이 노선은 특히 남양주와 구리 지역의 교통난을 해소하고, 서울 중심부로의 접근성을 크게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됩니다.'15 9 년 월 착공 후 10 만 년 만에 개통하는 광역철도이다. 약 1 3,806조 억원( 국고 8,023억원, 지방비 4,132억원 , LH 1,651억원)이 투입되었다.1편성 6칸 9.. 2024. 8. 13.
8월 8일 주택 공급 확대 방안이라고 발표하고 집값 상승을 바란다로 읽힌다. 기획재정부 및 국토교통부 등 관계 부처장은 정부서울청사에서 8.8 (목요일 ) 14:00 「제8차 부동산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여 「국민 주거안정을 위한 주택공급 확대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을 살표 보시죠.[발표 내용 한 줄평]요즘은 부동산 전문가들이 너무 많으시니, 저같이 부린이의 시선으로 조금 삐딱하게 쳐다보았습니다. 야~ 집값 규제하는 척만해, 세금도 덜 걷혀 힘들고 한데 집값은 올라가야지.그리고 수도권에서 사셔야 합니다. [주요 내용]신규와 기존 계획을 가속화하여 향후 6년 동안 수도권에 42.7만 호를 공급하겠다고 합니다. 신규 택지 + 토지효율성 제고 + 신축매입을 통해 신규로 21만 호를 추가 공급한다고 합니다. 신규택지 : 신규택지로 8만 호를 공급한다고 하는데, 이것이 아마 강.. 2024. 8. 12.
김포한강 제2 신도시, 2030년 첫 분양. 국토교통부는 김포한강 2 공공주택지구, 즉 제2 신도시에 대한 관계기관 협의,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이 완료되어 7월 31일 공공주택지구 지정을 고시한다고 밝혔습니다. 상세 내용을 같이 보시죠.[무엇을] 김포한강 2 지구는 이번 지구지정을 시작으로‘26년 지구계획 승인,’ 30년 최초 분양을 거쳐 총 4만 6천 호의 신규 주택이 공급될 예정으로,조속한 주택공급을 위해 보상과 부지조성을 병행하고 부지조성이 완료된 단지부터 순차적으로 주택착공과 분양을 추진하여 속도감 있게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어디에] 김포한강2 공공주택지구(4.6만 호)는 김포한강신도시, 양곡지구 생활권 사이에 위치해 기 개발된 지역과 연계하여 공간적 완결성을 강화하고, 광역교통·자족시설을 확보하여 스마트 자족도시로 조성.. 2024. 8. 4.
2024년 6월 주택 거래량, 미분양 등 주택 통계가 발표되었습니다. 국토교통부는 ’ 24년 6월 기준 주택 통계를 공표하였다.(건설)’24년 6월 기준 주택 착공, 분양은 전년 동월 대비 증가하였고, 인허가, 준공은 전년 동월 대비 감소하였다. 인허가는 6월 기준 23,886호로 전년 동월(36,912호) 대비 35.3% 감소하였다. 1~6월 누계 기준 149,860호로 전년 동기(202,808호) 대비 26.1% 감소.착공은 6월 기준 20,712호로 전년 동월(16,500호) 대비 25.5% 증가하였다. 1∼6월 누계 기준 127,249호로 전년 동기(97,583호) 대비 30.4% 증가.분양(승인)은 6월 기준 21,655호로 전년 동월(19,777호) 대비 9.5% 증가하였다. 1∼6월 누계 기준 112,495호로 전년 동기(66,447호) 대비 69.3% 증가... 2024. 8. 3.
2024년 아파트 시공사, 건설사, 브랜드 시공 능력 평가 결과, 내 집 마련 시 참조하세요. 국토교통부는 건설산업기본법에 따라 등록된 전국 건설업체 중 평가를 신청한 업체를 대상으로 ’ 24년도 시공능력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7월 31일 공시하였습니다.  주택 매매 시 참조하시면 좋을 듯합니다. [시공 능력 평가 결과]‘시공능력평가’는 발주자가 적정한 건설업체를 선정할 수 있도록 건설공사실적 ․ 경영상태 ․ 기술능력 및 신인도를 종합평가하는 제도이며, 올해시공능력평가를 신청하여 평가받은 건설업체는 총 73,004개사로 전체 건설업체 85,642개사의 85.2%이다. ’24년 토목건축공사업체 시공능력평가 결과, ’ 23년과 동일하게 삼성물산이 31조 8,536억 원으로 1위, 현대건설이 17조 9,436억 원으로 2위, 대우건설이 11조 7,087억 원으로 3위를 차지하였다. 종합건설업종별로.. 2024. 8. 2.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