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에서 처음으로 부동산 서비스 산업에 대한 현황을 발표했어요. 무엇을 발표하고, 어떤 의미가 있을지 살펴보시지요.
배경
부동산 서비스산업은 우리 경제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최근 국토교통부에서 발표한 부동산 서비스산업 현황에 따르면, 이 산업은 규모가 크게 늘어나고 있으며 많은 종사자들이 이 분야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황을 통해 부동산 투자자들은 어떤 방향으로 투자를 진행해야 할지 고민하게 됩니다.
현황
부동산 서비스산업의 규모는 약 250조 원으로, 78만 명의 종사자가 27만여 개의 사업체에서 부동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중 공인중개서비스업이 가장 많은 사업체 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부동산 임대업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종사자 수도 많은데, 부동산 관리업이 가장 많이 나타났습니다. 산업 전체 매출액은 254조 원으로, 부동산 개발업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① (사업체 수) 부동산서비스산업 사업체 수는 약 27.7만 개, 공인중개업 40.1%로 가장 많으며, 그 다음이 임대업 27%를 차지하고 있다.
② (종사자 수) 부동산서비스산업 종사자 수는 약 78.3만 명, 관리업이 37.6%, 공인중개사 21.7%순으로 높은 순위를 보인다.
③ (매출액) 부동산서비스산업 매출액은 약 254조 원, 개발업이 140조(55.4%)로 단연 앞서며, 이 후 임대업이 48.9조(19.6%)를 보이고 있다.
투자 Point
부동산 서비스산업의 규모는 우리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굉장히 큰 것으로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 본 자료 및 통계는 처음 발표되는 것으로써 지속적을 부동산 서비스업이 발전하고 성장 할 것인지, 상향 혹은 하향 Trend를 볼 수가 없어, 어떠한 투자 포인트에 참조하기에는 어려울 듯해요. 25년, 26년 등 향후 발표될 자료를 통해 앞으로 부동산 투자에 대한 방향을 정해 볼 수 있을 듯합니다. 계속 지켜보시죠.
* 나의 생각 : 대한민국에서 부동산 서비스업의 규모는 12% (2023년 실질 GDP 1,995조)이상을 보이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종사자는 대부분 고령자이다. 이런 곳에 젊은 청년들이 많이 참여하면, 더 역동적이며 청년 실업도 많이 해소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수출로 먹고사는 나라인데, 부동산은 수출을 할 수가 없어서... 그게 문제다.
'정부정책(국토교통부,기획재정부,금융위원회,국세청)'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전 국민 경제 이해력 조사, 우리 국민의 경제 점수는 몇 점일까요? (0) | 2024.03.12 |
---|---|
24.2월 소비자 물가는 얼마일까요? 이젠 금리 내리나요? (0) | 2024.03.11 |
서울시 역세권 활성화 '주요간선도로변' 까지 확대, 용적률 인센트브 통한 콤팩트시티 신호탄 쏜다. (4) | 2024.03.09 |
24년 1월 대한민국 인구 이동의 숨겨진 이유. (0) | 2024.03.08 |
스트레스 DSR 때문에 스트레스 받네요. (2) | 2024.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