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layout-aside-lef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땅땅거리고 살자(부동산투자)

2024년 KB주택시장 리뷰 11월호: 주택시장 방향, 어디로 가나?

by 선혜윰파운더 2024. 11. 28.

2024년 11월 13일, KB경영연구소는 2024년 11월호 KB주택시장리뷰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11월호 KB주택시장리뷰의 주요 내용과 그 의미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주택 시장의 현황

2024년 11월 KB주택시장리뷰에 따르면, 주택 매매가격 상승폭이 둔화되고 매매 거래 감소세가 지속되면서 매매시장은 빠르게 위축되고 있다.

  • 전국 주택 매매가격은 하반기 이후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정부의 가계 부채 관리 강화와 은행권의 대출 제한 조치 등으로 서울도 대부분 지역에서 상승폭이 둔화(9월 0.49%, 10월 0.28%)
  • 매매 거래는 그동안 증가세를 주도해 온 수도권(전월 대비 -21.2%)과 아파트(전월 대비 -17.9%)에서 크게 감 소하였으며, 투자 수요의 부진이 지속되면서(관할시도 외 거래 비중 20% 내외) 경기 회복에 한계로 인해 매매 거래 또한 둔화세를 보이고 있다. 

주택 매매 가격 동향

  • 10월 전국 주택 매매가격은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상승폭은 둔화(9월 0.16%, 10월 0.09%) 되었다. 정부의 가계 부채 관리 강화와 은행권의 대출 제한 조치 등으로 수도권은 전 지역에서 상승폭이 둔화되었으며, 비수도권의 경우 대전은 상승폭이 둔화되고 부산과 대구는 여전히 하락세 지속하고 있다. 
  • 강남구를 비롯한 서울 대부분 지역에서 상승폭이 둔화되었으며, 시세총액 상위 50개 아파트 역시 최근 2개월 연속 상승폭 둔화(8월 2.46%, 9월 2.16%, 10월 1.09%)

주택 매매가격지수 추이

주택 임대 시장 동향

  • 10월 전국 주택 전세가격은 전월 대비 0.17% 상승하며 9월(0.22%)에 비해 상승폭 둔화.  수도권 전 지역에서 상승폭이 둔화되었으며, 특히 서울의 둔화 속도가 가파름(9월 0.39%, 10월 0.21%), 비수도권은 대구를 제외한 4개 광역시는 하반기 이후 상승세가 지속되고, 기타 지방도 4월 하락 전환 이후 7개월 만에 상승 전환.
  • 전세가격전망지수는 상승 전망 비중이 다소 축소되었으나, 상승세가 장기간 지속되며 비수도권으로 확산되고 있어 여전히 불안은 지속.

주택 전세가격지수 추이

주택 거래 동향

주택 매매 거래량은 수도권 중심으로 7월 이후 2개월째 가파르게 감소.

  • 9월 전국 주택 매매 거래량은 5만 1,267건으로 전월 대비 15.5% 감소하고 수도권(-21.2%)이 비수도권(-8.7%) 보다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며, 7월 이후 2개월 연속 감소하면서 상반기 월평균(5.2만 건) 수준으로 회귀.
  •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17.9%)가 비아파트(-6.5%)보다 감소폭이 크며, 관할시도 외 거래 비중은 여전 히 20% 내외에서 횡보 중이다. 

주택 매매거래 추이

주택 공급 동향

분양물량은 주택 경기 회복으로 수도권 중심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 10월 전국 아파트 분양물량은 2.5만 호로 전월 대비 41.0% 증가하였으며, 청약 경쟁률은 17.2대 1 기록하였다. 하반기 들어 주택 경기가 다소 회복되면서 건설사들의 사업 진행 속도가 빨라지며 분양물량이 증가하였다.
  • 다만, 분양물량 증가 및 청약 경쟁률 상승에도 준공후 미분양 아파트는 14개월 연속 증가하면서 분양시장에서 양극화 현상이 지속되고 있음.

아파트 분양물량 추이

* 나의 생각 : 주택 가격 상승세가 둔화 되고 거래량 또한 급격한 감소를 보이고 있다. 1차 원인은 정부의 대출 규제로 판단되며, 과연 이런 상승폭은 대세 하락일지 일시적인 둔화일지 모르겠다. 일단 나의 생각은 51:49로 정부 대출 규제로 인한 일시적 둔화로 판단된다. 

KB주택시장리뷰_2024년11월호.pdf
0.74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