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13일, KB경영연구소는 2024년 11월호 KB주택시장리뷰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11월호 KB주택시장리뷰의 주요 내용과 그 의미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주택 시장의 현황
2024년 11월 KB주택시장리뷰에 따르면, 주택 매매가격 상승폭이 둔화되고 매매 거래 감소세가 지속되면서 매매시장은 빠르게 위축되고 있다.
- 전국 주택 매매가격은 하반기 이후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정부의 가계 부채 관리 강화와 은행권의 대출 제한 조치 등으로 서울도 대부분 지역에서 상승폭이 둔화(9월 0.49%, 10월 0.28%)
- 매매 거래는 그동안 증가세를 주도해 온 수도권(전월 대비 -21.2%)과 아파트(전월 대비 -17.9%)에서 크게 감 소하였으며, 투자 수요의 부진이 지속되면서(관할시도 외 거래 비중 20% 내외) 경기 회복에 한계로 인해 매매 거래 또한 둔화세를 보이고 있다.
주택 매매 가격 동향
- 10월 전국 주택 매매가격은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상승폭은 둔화(9월 0.16%, 10월 0.09%) 되었다. 정부의 가계 부채 관리 강화와 은행권의 대출 제한 조치 등으로 수도권은 전 지역에서 상승폭이 둔화되었으며, 비수도권의 경우 대전은 상승폭이 둔화되고 부산과 대구는 여전히 하락세 지속하고 있다.
- 강남구를 비롯한 서울 대부분 지역에서 상승폭이 둔화되었으며, 시세총액 상위 50개 아파트 역시 최근 2개월 연속 상승폭 둔화(8월 2.46%, 9월 2.16%, 10월 1.09%)
주택 임대 시장 동향
- 10월 전국 주택 전세가격은 전월 대비 0.17% 상승하며 9월(0.22%)에 비해 상승폭 둔화. 수도권 전 지역에서 상승폭이 둔화되었으며, 특히 서울의 둔화 속도가 가파름(9월 0.39%, 10월 0.21%), 비수도권은 대구를 제외한 4개 광역시는 하반기 이후 상승세가 지속되고, 기타 지방도 4월 하락 전환 이후 7개월 만에 상승 전환.
- 전세가격전망지수는 상승 전망 비중이 다소 축소되었으나, 상승세가 장기간 지속되며 비수도권으로 확산되고 있어 여전히 불안은 지속.
주택 거래 동향
주택 매매 거래량은 수도권 중심으로 7월 이후 2개월째 가파르게 감소.
- 9월 전국 주택 매매 거래량은 5만 1,267건으로 전월 대비 15.5% 감소하고 수도권(-21.2%)이 비수도권(-8.7%) 보다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며, 7월 이후 2개월 연속 감소하면서 상반기 월평균(5.2만 건) 수준으로 회귀.
-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17.9%)가 비아파트(-6.5%)보다 감소폭이 크며, 관할시도 외 거래 비중은 여전 히 20% 내외에서 횡보 중이다.
주택 공급 동향
분양물량은 주택 경기 회복으로 수도권 중심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 10월 전국 아파트 분양물량은 2.5만 호로 전월 대비 41.0% 증가하였으며, 청약 경쟁률은 17.2대 1 기록하였다. 하반기 들어 주택 경기가 다소 회복되면서 건설사들의 사업 진행 속도가 빨라지며 분양물량이 증가하였다.
- 다만, 분양물량 증가 및 청약 경쟁률 상승에도 준공후 미분양 아파트는 14개월 연속 증가하면서 분양시장에서 양극화 현상이 지속되고 있음.
* 나의 생각 : 주택 가격 상승세가 둔화 되고 거래량 또한 급격한 감소를 보이고 있다. 1차 원인은 정부의 대출 규제로 판단되며, 과연 이런 상승폭은 대세 하락일지 일시적인 둔화일지 모르겠다. 일단 나의 생각은 51:49로 정부 대출 규제로 인한 일시적 둔화로 판단된다.
'땅땅거리고 살자(부동산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양은평선, 2031년 개통 확정?수도권 서북부 교통혼잡 해소될까? (0) | 2024.12.05 |
---|---|
1기 신도시 재건축, 이제 현실이된다! 13개 선도지구 선정으로 본 미래 도시의 모습 (0) | 2024.12.03 |
2023년 주택소유 통계 발표: 당신의 집은 어떤 통계 안이 있나요? (0) | 2024.11.25 |
서울시 도시재생 1호 창신동, 오세훈표 신속통합기획으로 다시 태어난다 (0) | 2024.11.22 |
강북의 변화를 이끌 월계 2지구, 그 뜨거운 미래를 파헤쳐 보다! (0) | 2024.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