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땅땅거리고 살자(부동산투자)

24년 12월 주택 통계 : 단기적 하락, 중장기적 상향 흐름 예측

by 선혜윰파운더 2025. 2. 12.

2024년 12월 주택통계가 발표되면서, 부동산 시장의 주요 지표들이 공개되었습니다. 이번 통계는 주택건설, 거래, 미분양 현황 등을 포함하여 시장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합니다. 아래에서는 2024년 12월의 주택건설 현황, 주택거래 동향, 그리고 미분양 현황을 전년 동월 및 전월 대비로 상세히 분석해 보겠습니다.

1. 주택건설 현황

1-1. 인허가 실적

2024년 12월 주택 인허가 실적은 총 15만 5,123호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는 전월 대비 증가한 수치로, 연말을 맞아 인허가가 활발히 이루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2024년 전체 인허가 실적은 42만 8,244호로, 2023년의 42만 8,744호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였습니다. 공급 여건이 위축된 상황에서도 공공주택 실적이 크게 개선된 영향이 컸습니다.

1-2. 착공 및 준공 실적

12월 착공 실적은 6만 5,437호로, 전월 대비 증가하였으며, 준공 실적은 4만 5,927호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증가 추세는 연말을 앞두고 건설사들의 공사 마무리와 신규 프로젝트 착수가 활발히 이루어진 결과로 해석됩니다.

2024년 12월 건설실적 누계 및 추이

2. 주택거래 현황

2-1. 매매거래량

2024년 12월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은 총 4만 5,921건으로, 전월(4만 9,114건) 대비 6.5% 감소하였습니다. 수도권 거래량은 2만 235건으로 7.1% 감소하였고, 지방은 2만 5,686건으로 6.0% 감소하였습니다. 그러나 전년 동월 대비로는 전체 거래량이 20.7% 증가하여, 연간 누적 거래량도 전년 대비 15.8% 증가한 64만 2,576건을 기록하였습니다.

2-2. 전월세 거래량

전월세 거래량은 12월에 총 14.0%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주택 매매거래의 감소와 맞물려, 임차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전세와 월세의 수요 증가는 주택 매매시장의 불확실성에 대한 대응으로 보입니다.

2024년 12월 전국 주택 거래 현황

3. 미분양 현황

3-1. 전체 미분양 주택

2024년 12월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총 7만 173호로, 전월 대비 7.7% 증가하였습니다. 이 중 수도권은 1만 6,997호로 17.3% 증가하였고, 비수도권은 5만 3176호로 5.0% 증가하였습니다.

3-2. 준공 후 미분양 주택

특히,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 1,480호로 전월 대비 15.2%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2014년 7월 이후 10년 5개월 만에 처음으로 2만 호를 넘어선 수치로, '악성 미분양'의 증가가 우려되는 상황입니다.

2024년 12월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 및 추이

* 나의 생각 : 주택건설 실적은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으나, 주택 매매거래는 전월 대비 감소하였고, 미분양 주택 특히 준공 후 미분양의 증가가 두드러졌습니다. 이는 단기적으로는 부동산 시장에 대해 하락을 우려하는 소비자 심리가 많은 듯 하지만 중장기적으로 건설사 등 공급자는 부동산 시장의 안정적 상승을 기대 및 예측하고 있는 듯합니다. 

250205(석간)_‘24년_12월_주택_통계(주택정책과).pdf
1.16MB


TOP

Designed by 티스토리